약용식물 검색
식물이름이나 효능으로 검색할 수 있고 직접 찾아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식물, 나무, 꽃을 선택하게 되면 식물 키우는 방법, 효능, 분포지역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락지나물 사함(蛇含)
효능: 말라리아, 사교상, 소아경풍, 옹종, 인후통, 종독, 청열, 해독,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 낸다.
가래 안자채(眼子菜)
효능: 간염, 건위, 과실식체, 구충, 소종, 식강어체, 식예어체, 양궐사음, 음수체, 이수, 일체안병, 임질, 자궁출혈, 주독, 지방간, 지사, 지혈, 치질, 치핵, 해독,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가래나무 핵도추피(核桃楸皮)
효능: 강장, 강장보호, 거습, 구충, 동상, 수감, 염발, 요독증, 요통, 위궤양, 일체안병, 자색반병, 자양, 자양강장, 장염, 조습, 진해, 척추질환, 폐기, 포태, 피부염, 하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가시연꽃 검인(芡仁), 검실(芡實)
효능: 강심익지, 강장, 강장보호, 강장제, 건비위, 견비통, 곽란, 관절통, 대하, 보비거습, 보정, 소변실금, 오십견, 완화, 요통, 위내정수, 유정, 익신고정, 자양강장, 정기, 정양, 주독, 지혈, 진통, 통풍, 폐기천식, 해수, 해열, 허약체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치질, 복부팽만감이 있는 사람, 산후에는 복용을 피한다.
가시오갈피 오가피(五加皮)
효능: 각기, 강심, 강심익지, 강장, 고혈압, 관절염, 근골 위약, 근염, 보신 안 신, 요통, 익기건비, 정력증진, 조루증, 종기, 진통, 타박상, 풍, 풍비, 풍한습비,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혹은 술에 담가 복용한다.
가죽나무 저근백피(樗根白皮)
효능: 거습, 구충, 살충, 위궤양, 이질, 적백리, 조습, 지사, 지혈, 청열조습, 치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가지 가자(茄子)
효능: 각기, 경중양통, 고혈압, 구내염, 동상, 딸국질, 부인하혈, 생선중독, 소종, 수은중독, 아감, 열질, 요통, 위경련, 위궤양, 위암, 유두파열, 음양음창, 인두염, 종창, 주체, 진통, 청열, 충치, 치통, 치핵, 타박, 통리수도, 파상풍, 표저, 풍치, 피임, 하혈, 해열, 활혈, 후두염 등
사용법: (내복): 환제나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부위에 개어 붙인다.
갈대 노근(蘆根)
효능: 건위, 곽란, 구토, 번위, 비체, 설사, 식균용체, 식저육체, 식중독, 심번, 암내, 요독증, 위경련, 위한증, 이급, 자양, 자양강장, 장위카타르, 주독, 중독증, 지구역, 지구제번, 진토, 청열생진, 탈항, 토혈, 폐결핵, 폐옹, 폐위, 폐혈, 해독, 해산촉진, 해열, 협심증, 홍역,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갈매나무 서리(鼠李)
효능: 감충, 나력, 복요통, 부종, 열독, 오한, 창종, 창진, 치통, 풍질, 하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갈퀴나물 산야완두(山野豌豆)
효능: 관절염, 거풍습, 음 낭습, 음낭종독, 제습, 종기, 종독, 지통, 진통, 통기,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또는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사용한다.
갈퀴덩굴 팔선초(八仙草), 거거등(鋸鋸藤)
효능: 고혈압, 산어혈, 소종, 식도암, 요혈, 유방암, 자궁암, 중이염, 진통, 청습열, 타박상, 폐암, 피부암, 해독, 혈뇨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감나무 시체(柿蔕), 시병(柿餅)
효능: 간경변증, 감기, 강기, 고혈압, 구금불언, 구역증, 근골동통,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동상, 비체, 소아이질, 식계육체, 야뇨, 유즙 결핍, 인플루엔자, 장염, 주독, 주부습진, 주체, 중풍, 지사, 지혈, 치통, 치핵, 타박상, 토혈, 토혈 각혈, 편도선비대, 폐렴, 하리, 한열왕래, 해수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또는 생식한다.
감자 양우(洋芋)
효능: 건비, 건위, 고혈압, 과민성대장증후군, 구내염, 민감체질, 보기, 볼거리염, 소염, 완화, 위궤양, 인두염, 장위카타르, 절옹, 충치, 타박상, 태독, 피부염, 화상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 낸다.
감초 감초(甘草)
효능: 간염, 간질, 감기, 거담, 건망증, 건비위, 경결, 과실중독, 근골구급, 기관지확장증, 보혈, 비체, 소아경결, 소아천식, 식중독, 암내, 열격, 오풍, 오한, 위암, 윤폐, 중독, 진정, 진해, 청열, 치핵, 태독, 통기, 편도선비대, 폐기천식, 피부염, 해독, 해수, 화농, 활혈 후두염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또는 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 고혈압환자는 신중히 사용하여야 한다.
갓 백개자(白芥子)
효능: 감기, 강심, 강심제, 거담, 건위, 기관지염, 소담음, 소생, 실신, 열격, 온중산한, 위한토식, 이뇨, 이병, 인플루엔자, 열격, 최면제, 통경, 폐결핵, 폐렴, 폐한해수, 피부병, 해수, 해소, 혈기심통, 화비위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 폐가 허하여 기침하는 경우는 금한다.
강아지풀 구미초(狗尾草)
효능: 민감체질, 옹종, 일체안병, 종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수전하여 상처 부위를 닦아준다.
강활 강활(羌活)
효능: 감기, 거풍승습, 경련, 관절염, 관절통, 구풍, 배절풍, 안면신경마비, 이관절, 제습, 중풍, 지통, 진경, 치통, 풍, 풍비, 풍열, 한열왕래, 항바이러스, 해열, 해표산한, 현벽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개감수 감수(甘遂)
효능: 당뇨, 발한, 백선, 사독, 사하 투수 악성종양, 이뇨, 임질, 진통, 치통, 통경, 통이변, 풍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 독성이 강함으로 허약한 사람이나 임산부는 사용을 금한다.
개구리밥 부평(浮萍)
효능: 강장, 난관난소염, 단독, 당뇨, 매독, 발한, 수종, 양모발약, 열광, 열독증, 열병, 열질, 염증, 이뇨, 임질, 종독, 종창, 중풍, 지갈, 창종, 청열, 통리수도, 편두통, 풍비, 풍치, 피부 소양, 해독, 해열, 허약체질, 화상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서 상처 부위에 김을 쐬고, 가루를 내어 개어 붙인다.
개구리자리 석룡예(石龍芮)
효능: 간염, 결핵, 급성간염, 나력, 말라리아, 옹종, 종독, 진통, 창종, 청혈해독, 충독, 충치, 하리궤양, 학질, 해독,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끓여서 고(膏)를 만들어 바른다.
개나리 연교(連翹)
효능: 강심제, 견비통, 결핵, 옴, 월경이상, 이뇨, 임질, 종기, 부기, 중이염, 진통, 축농증, 치질, 치핵, 통경, 통리수도, 통풍, 피부병, 피부염,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그 김을 상처부위에 쐬고 닦아낸다.
개똥쑥 청호(靑蒿)
효능: 감기, 개선, 건위, 경련, 구토, 소아 경풍, 안질, 양혈, 열질, 유두파열, 이뇨, 인플루엔자, 일체안병, 제습, 진경, 창종, 청열거풍, 최토제, 퇴허열, 풍습, 학질, 해성,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 말라리아 치료제로 개발됨
개망초 일년봉(一年蓬)
효능: 간염, 감기, 건위, 요혈, 설사, 소화불량, 장염, 장위카타르, 조소화, 지혈, 청열, 하리, 학질,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개맥문동 맥문동(麥門冬)
효능: 감기, 강장, 강장 보호, 객혈, 괴저, 기관지염, 변비, 소갈, 심장염, 윤폐양음, 이뇨, 익위생진, 인건구조, 진정, 창종, 청심제번, 토혈, 폐농양,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개머루 사포도(蛇葡萄)
효능: 간염, 관절염, 금창, 급성간염, 나력, 동상, 면포 창, 소염, 이뇨, 제습, 종기, 종독, 진통, 창종, 청열, 치질, 치핵, 통기, 표저, 풍, 해열, 해열거풍, 화상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개미취 자원(紫菀)
효능: 각혈, 거담, 거풍, 경풍, 기관지염, 담, 보익, 소아 경풍, 암, 윤폐, 이뇨, 인후 통증, 조갈증, 진통, 진해, 창종, 토혈, 토혈 각혈, 통리수도, 폐기천식, 폐농양, 폐암, 폐혈, 피부암, 해소, 해열, 허약체질, 후두염, 흉부 답답, A형간염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외사가 체내에 침입하여 정기와 싸워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개별꽃 태자삼(太子參)
효능: 간장보호, 건망증, 건비위, 건위, 보기생진, 보폐, 식욕부진, 신경쇠약, 열질, 위장병, 윤폐, 정신피로, 치질, 치핵, 하리,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 또는 환제로 복용한다.
개암나무 진자(榛子)
효능: 강장보호, 강장제, 개위, 건비위, 견비통, 명목, 보익, 오십견, 조중, 허약체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 내거나 또는 생으로 복용한다.
개오동 재실(梓實), 재백피(梓白皮)
효능: 각기, 간염, 감비, 강장, 강장보호, 건위, 고혈압, 구충, 부종, 신장염, 양모발약, 요도염, 요독증, 위궤양, 위암, 이뇨, 종독, 종창, 진통, 창종, 청열, 충치, 치핵, 탈항, 통리수도, 피부소양증, 해독, 해열, 혈뇨, 화상,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 수피와 근피는 재백피(梓白皮)로 쓴다.
개족도리풀 세신(細辛)
효능: 감기, 거풍, 건위, 두통, 산한, 온폐, 이뇨, 진정, 진통, 진해, 축농증, 치통, 해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코안에 뿌린다.
갯기름나물 식방풍(植防風)
효능: 강정, 거풍해표, 골절 산통, 골통, 근골동통, 대하증, 도한, 식중독, 정력, 정력증진, 제습지 통, 중독, 중풍, 진통, 풍사,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겨우살이 곡기생( 寄生), 상기생(桑寄生)
효능: 각기, 강장보호, 거풍습, 고혈압, 관절염, 근골위약, 동맥경화, 보간신, 안태, 열질, 요통, 장풍, 제습, 진정, 진통, 최토, 치통, 치한, 태루, 통경, 풍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 또는 환제로 복용한다.
결명자 결명자(決明子)
효능: 각기, 각막염, 간경변증, 간염, 감비, 갑상샘염, 강장보호, 건위, 결막염, 경신익지, 고혈압, 관절염, 구내염, 구창, 근시, 급성간염, 기울증, 명목, 목정통, 민감체질, 사태, 소아 변비증, 소아 야뇨증, 시력 강화, 야뇨증, 야맹증, 오풍, 완화, 위궤양, 정력증진, 홍안, 환각치료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계요등 계시등(鷄屎藤), 취피등(臭皮藤)
효능: 간염, 감기, 거담, 거풍, 골수염, 관절염, 급성간염, 기관지염, 내풍, 무월경, 비괴, 식적, 신장염, 아통, 이질, 제습, 종독, 지혈, 진통, 충독, 타박상, 풍, 해수, 활혈, 해소, 해독, 황달, 흉협고만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짓찧거나 물로 달여서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닦아낸다.
고들빼기 고접자(苦蝶子)
효능: 건위, 골절증, 구고, 발한, 소아해열, 소종, 유두파열, 음낭습, 음낭종독, 음종, 이뇨, 익신, 자한, 종독, 종창, 진정, 최면, 최면제, 타박상, 폐렴, 해열, A형간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고로쇠나무 지금축(地錦槭)
효능: 거풍제습, 골절상, 당뇨, 사지 마비, 소화불량, 식감 저체, 위장염, 음수체, 음수체, 타박상, 하리, 활혈거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고마리 수마료(水麻蓼)
효능: 견비통, 경혈, 류머티즘, 명목, 오십견, 요통, 음종, 이뇨, 이질, 지혈, 치핵, 타박상, 통리수도, 해독,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고본 고본(藁本)
효능: 각기, 감기, 관절통, 구충, 난관난소염, 대하, 실뇨, 양 혈 지혈, 요슬산통, 요통, 월경이상, 임질, 좌골신경통, 지혈, 청열해독, 코피, 토혈, 토혈 각혈, 해열, 혈변, 혈붕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달인 액으로 상처 부위를 씻는다.
고비 자기(紫箕),구척(拘脊), 관중(貫中)
효능: 각기, 감기, 관절통, 구충, 난관난소염, 대하, 수종, 실뇨, 양혈지혈, 요슬산통, 월경이상, 임질, 좌골신경통, 지혈, 청열해독, 코피, 토혈, 토혈각혈, 해열, 혈변, 혈붕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丸劑)로 복용한다.
고사리 궐근(蕨根)
효능: 강근골, 강기, 고치, 고혈압, 부종, 소아탈항, 야뇨증, 열질, 윤장, 음수체, 이뇨, 자양강장, 지혈, 청열, 치핵, 탈항, 통경, 통변, 통리수도, 해열, 화염, 황달, 흥분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고사리삼 음지궐(陰地蕨)
효능: 간 보호, 급성결막염, 두통, 간질, 종창종독, 진해, 토혈, 해수, 해열, 현기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고삼 고삼(苦蔘)
효능: 간 기능회복, 간염, 감기, 개선, 거품 대변, 건 위, 경선결핵, 나창, 만성위염, 신경통, 연주창, 요통, 위경련, 음부 소양, 이급, 이뇨, 자한, 장염, 제습, 주독, 최토제, 충치, 치루, 치통, 탈항, 태독, 편도선염, 폐렴, 피부소양증, 학질, 한열왕래, 항바이러스, 홍역, 황달, 흉통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 비위가 허약 하거나 변이 묽은 사람에게는 쓰지 않는 게 좋다.
고욤나무 군천자(君遷子)
효능: 거번열, 경혈, 고혈압, 목마름, 동상, 딸꾹질, 야뇨, 야뇨증, 주독, 중풍, 지사, 지살, 지혈, 토혈, 토혈 각혈, 한 열,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또는 잘 갈아 복용한다.
고추 번초(藩椒)
효능: 감기, 강심제, 개선, 건위, 견비통, 근육통, 늑막염, 동상, 신경통, 우울증, 위한증, 중풍, 타박상, 탄산토산, 피부병, 학질, 홍색습진, 흉부냉증, 흥분, 흥분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그 김을 상처부위에 쐬고 닦아낸다.
골담초 골담초근(骨膽草根)
효능: 각기, 강심, 강심제, 견인통, 고혈압, 골절번통, 골절증, 관상동맥질환, 관절염, 근육통, 신경통, 요통, 유선염, 이뇨, 이명, 익비, 장간막탈출증, 진통, 척추관협착증, 청폐, 타박상, 통경, 통리수도, 통맥, 통풍, 해수,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골풀 등심초(燈心草)
효능: 강화, 경련, 금창, 비뇨기염증, 소아감적, 소아 경련, 소아 경풍, 외상, 이뇨, 지혈, 진경, 진통, 청심, 통림, 편도선염,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허한 자는 복용을 금한다.
곰취 호로칠(葫蘆七)
효능: 관절통, 동통, 백일해, 보익, 양궐사음, 요통, 이기활혈, 지통, 진해 거담, 진정, 진통, 타박상, 폐결핵, 폐기천식, 해수,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관중 관중(貫衆)
효능: 감기, 금창, 대하, 두통, 부인하혈, 살충, 이하선염, 자궁수축, 자궁출혈, 장염, 장 출혈, 지혈, 청혈해독, 토혈각혈, 해열, 홍역, 회충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음허내열 및 비위가 허한 사람이나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광대나물 보개초(寶蓋草)
효능: 거풍통락, 강장, 관절염, 대하증, 소종지통, 월경이상, 종독, 진통, 토혈, 풍,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광대수염 야지마(野芝麻)
효능: 각혈, 감기, 강근 골, 강장, 강장 보호, 경혈, 근골동통, 금창, 대하증, 만성 요통, 백대, 비뇨기질환, 요통, 월경이상, 자궁질환, 종독, 타박상, 토혈 각혈, 폐열해혈, 혈뇨, 혈림, 활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개어 붙인다.
광대싸리 일엽추(一葉萩)
효능: 강근 골, 강장 보호, 건 비익신, 건 비위, 반신불수, 사지 마비, 요통, 음위, 조루증, 허약체질, 활혈, 활혈서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괭이밥 작장초(酢漿草)
효능: 간염, 경혈, 소아 탈항, 소종해독, 소화제, 악창, 양혈산어 옴, 옹종, 인후염, 종창, 청열이습, 충독, 치핵, 타박상, 탈항, 토혈 각혈, 피부병, 해독, 해열, 허 혈통, 혈림, 화상,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내다.
구기자나무 구기자(枸杞子)
효능: 간경변증, 간염, 간질, 강장보호, 건위, 견비통, 고혈압, 구내염, 당뇨병, 만성간염, 만성피로, 목소양증, 소염, 실뇨, 양혈거풍, 위궤양, 유정증, 윤폐, 자신보간, 저혈압, 정력증진, 조루증, 최음제, 춘곤증, 췌장염, 폐결핵, 피부노화방지, 혈색불량, 협심증, 황달, 흉부냉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구릿대 백지(白芷)
효능: 간질, 감기, 건비, 건 위, 경련, 경통, 고혈압, 구토, 난청, 부인병, 빈혈, 사기, 신허, 안산, 역기, 오줌소태, 오한, 옹종, 요독증, 유선염, 음종, 이뇨, 장염, 정혈, 종독, 중풍, 지통, 지혈, 진정, 진통, 치루, 치통, 통경, 편두통, 풍한, 피부병, 해수, 현훈, 혈뇨, 활혈, 흥분제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산포한다.
구절초 구절초(九節草)
효능: 강장, 강장 보호, 건위, 냉복통, 보온, 보익, 부인병, 식욕, 신경통, 양궐사음, 온신, 외한증, 월경이상, 위 무력증, 위한증, 음극사양, 음냉통, 음부질병, 자궁냉증, 적면증, 정혈, 조경, 조루증, 중풍, 치풍, 통경, 풍, 풍한, 허냉, 현훈, 적면증, 흉부냉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굴거리나무 교양목(交讓木)
효능: 강장제, 건 위, 견비통, 고미, 골절증, 관절통, 구충, 식욕촉진, 양위, 오십견, 요통, 월경이상, 제습, 진통, 청열, 편도선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굴피나무 화향수과(化香樹果)
효능: 강장제, 개선, 거풍, 건습, 근골동통, 살충, 소종, 습창, 종독, 지통, 진통, 창독, 치통, 풍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부위를 닦거나 개어 붙인다.
금낭화 하포모단근(荷包牡丹根)
효능: 산혈, 소창독, 옹종, 제풍, 종독, 타박상, 탈홍증, 해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개어 붙인다.
금불초 선복화(旋覆花)
효능: 강기지구, 건위, 곽란, 구토, 소염행수, 소화불량, 외상, 위장염, 유선염, 이뇨, 지구역, 천식, 타박상, 통리수도, 폐기천식, 해수, 흉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까마중 용규자(龍葵子)
효능: 감기, 강장, 고혈압, 근시, 기관지염, 대하증, 부종, 식견육체, 식우육체, 식해삼체, 신경통, 옹종, 유옹, 이뇨, 이뇨통림, 일체안병, 장티푸스, 종기, 종독, 좌골신경통, 진통, 청열해독, 치열, 타박상, 탈항, 통리수도, 폐기천식, 학질, 해독, 해수, 해열, 화농, 활혈, 황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 낸다.
깽깽이풀 선황련(鮮黃連)
효능: 건위, 건위지사, 결막염, 구내염, 이뇨, 일체안병, 주독, 청열해독, 태독, 토혈, 편도선염, 하리,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수전하여 환처를 닦아낸다.
꽃마리 계장초(鷄腸草)
효능: 늑막염, 다뇨, 설사, 수족 마비, 이질, 종독, 풍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꽃향유 향유(香薷)
효능: 각기, 감기, 구토, 발한, 발한해표, 수종, 열격, 열질, 오한 발열, 음부부종, 이뇨, 이수소종, 자한, 지혈, 탄산토산, 통리수도, 향료, 해열, 화중화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낸다.
꽈리 산장(酸漿)
효능: 간경화, 간염, 감기, 거풍, 견비통, 구충, 금창, 난산, 난소염, 늑막염, 사독, 사태, 안질, 열병, 오로보호, 요충증, 요통, 월경이상, 이뇨, 인후통증, 임질, 임파선염, 자궁염, 조경, 종독, 진통, 청열해독, 치핵, 통경, 통리수도, 편도선염, 폐기천식, 해독, 해수, 해열, 황달, 후통, 흉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 낸다. ☞ 비허,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꿀풀 하고초(夏枯草)
효능: 간염, 간허, 갑상선염, 강장보호, 거담, 건위, 결핵, 경선결핵, 고혈압, 구안와사, 나력, 두창, 목소양증, 산울개결, 안심정지, 안질, 연주창, 열광, 월경이상, 유선염, 유옹, 이뇨, 일체안병, 임질, 임파선염, 자궁내막염, 자궁염, 적백리, 종독, 축농증, 통리수도, 폐결핵, 풍열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낸다. ☞ 위에 자극성이 있다.
꿩의다리 마미련(馬尾連)
효능: 간염, 감기, 관절냉기, 결막염, 사화해독, 습진, 옹종, 이질, 일체안병, 장염, 장위카타르, 장출혈, 청열조습, 편도선염, 하리, 해수, 해열, 황달, B형간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꿩의바람꽃 죽절향부(竹節香附)
효능: 거풍습, 경련, 골절통, 사지 마비, 소옹종, 요통, 제습, 종독, 종통, 진경, 진통, 통기, 풍, 풍비, 풍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개어 붙인다.
꿩의비름 경천(景天)
효능: 강장, 강장보호, 강장제, 단독, 대하증, 선혈, 온신, 일체안병, 종독, 지혈, 토혈각혈, 피부병, 해열, 화농,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나팔꽃 견우자(牽牛子)
효능: 각기, 갱년기장애, 관절염, 관절통, 금창, 낙태, 부종, 사하, 설사, 소적통변, 수종, 수충, 식마령서체, 야맹증, 완화, 요통, 유옹, 음수체, 이뇨, 종기, 타태, 태독, 통리수도, 통풍, 풍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 일정량 이상 복용시 중독증상이 나타나며,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남천 남천실(南天實)
효능: 간장염, 강장, 강장보호, 변비, 산풍, 주독, 주취, 지사, 지통, 진통, 진해, 폐기천식, 해수, 화상, 황달, 흉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 내어 복용한다.
낭아초 일미약(一味藥)
효능: 감기, 강장, 강장보호, 기관지염, 나력, 나창, 소창, 이수, 인플루엔자, 림프절염, 자한, 지한, 치핵, 통리수도,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냉이 제채(薺菜)
효능: 간질, 거풍, 건위, 견비통, 결막염, 고혈압, 두통, 명목, 부인하혈, 부종, 소아열병, 소아이질, 안심정지, 열격, 열병, 위경련, 위열, 이완출혈, 임질, 자궁수축, 적백리, 중풍, 지혈, 천식, 치통, 토혈, 통리수도, 폐결핵, 폐기천식, 폐농양, 폐렴, 하리, 해독, 해수, 간경변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즙액을 상처 부위에 바르거나 점안(點眼)한다
냉초 참룡검(斬龍劍), 산편초(山鞭草)
효능: 기관지염, 방광염, 외상, 요통, 중풍, 폐기천식,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노간주나무 두송실(杜松實)
효능: 간질, 감기, 거풍제습, 경풍, 고혈압, 곽란, 관절염, 소아경풍, 유즙결핍, 이뇨, 제습, 최유, 탄산토산, 통경, 통리수도, 풍, 풍습, 해독, 해수, 해열, 화상,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 증류주인 진의 향료로 사용한다.
노랑물봉선 이엽봉선화(耳葉鳳仙花)
효능: 난산, 사독, 소화, 오식, 요 흉통, 청량해독, 타박상, 해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노랑어리연꽃 행채(莕采)
효능: 건위, 고미, 발한, 사열, 옹종, 이뇨, 청열, 투진, 한열왕래,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노루귀 장이세신(樟耳細辛)
효능: 간 기능회복, 근골산통, 노통, 만성 위장염, 소종, 위장염, 장염, 종독, 지음증, 진통, 진해, 창종, 충독, 치루, 치통, 치풍,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노루오줌 소승마(小升麻)
효능: 거풍, 경혈, 관절통, 근골동통, 소염, 지해, 진통, 청열, 충독, 타박상, 풍, 해동, 해수, 해열, 활혈, 회충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노린재나무 화산반(華山礬)
효능: 감기, 개선, 근골동통, 설사, 이질, 지혈, 지혈생기, 청열이습, 학질, 한열왕래, 해열, 화상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거나, 가루를 내어 붙이거나, 물로 달여서 상처부위를 씻는다.
노박덩굴 남사등(南蛇藤)
효능: 강 근골, 거풍습, 근골동통, 복통, 사지 마비, 소아경기, 제습, 치통, 치핵, 타박상, 해독, 현훈, 활혈, 활혈맥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녹나무 장뇌(樟腦)
효능: 강심, 강심제, 개선, 건뇌, 건위, 진통, 도한, 동상, 류머티즘, 신경통, 장뇌유, 진정, 치통, 타박상, 통기, 통풍, 풍비, 해열, 활혈, 흥분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주침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상처 부위에 바르거나 닦아낸다.
누리장나무 취오동(臭梧桐)
효능: 감창, 거풍습, 건위, 고혈압, 류마티스, 식체, 제습, 종기, 종독, 중풍, 피부병, 피부염, 혈압하강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개어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낸다.
누린내풀 차지획(叉枝獲)
효능: 감기, 건위, 기관지염, 발한, 백일해, 소염, 이뇨, 자한, 종독, 지통, 지혈, 피임,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느릅나무 낭유피(榔楡皮)
효능: 강장, 강장보호, 개선, 고혈압, 관절염, 난산, 부종, 안산, 안태, 옹종, 완화, 이뇨, 장위카타르, 중풍, 치조농루, 치핵, 피부병, 피부 윤택, 피임, 해산촉진,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 위가 허약한 자는 복용을 금한다.
능소화 능소화(淩霄花)
효능: 강정안정, 대하증, 산후통, 안정, 양혈, 양혈거풍, 어혈, 월경이상, 이뇨, 이완출혈, 정혈, 주비, 주체, 주황병, 진통, 창종, 타박상, 통경, 통리수도, 풍진, 피부소양, 혈폐, 활혈파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서 상처부위에 바르거나 닦아낸다. ☞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다래 미후리(獼猴梨
효능: 간경변증, 간염, 강장, 강장 보호, 건 위, 관절통, 구토, 기관지염, 대장암, 소아 변비증, 소화불량, 식욕부진, 자궁경부암, 장위카타르, 장 출혈, 제습, 종독, 중풍, 지갈, 진통, 태아 양육, 통리수도, 통림, 풍습, 풍질, 해독, 해수, 해열, 허 냉,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닥나무 구피마(構皮麻)
효능: 간열, 강근, 강장, 강장보호, 강정제, 거풍, 악창, 완화, 일체안병, 이뇨, 제습, 중풍, 진해, 타박상, 풍, 피부염, 허약체질,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닥풀 황촉규근(黃蜀葵根)
효능: 경혈, 기관지염, 볼거리염, 사태, 산어, 소종, 악창, 안태, 옹종, 외음부부종, 요도염, 유즙 결핍, 음부부종, 이수, 이하선염, 임질, 종기, 진통, 치질출혈, 타박상, 통리수도, 통림, 해독, 화상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사용한다.
단삼 단삼(丹蔘)
효능: 간염, 강장, 강장보호, 건위, 관절통, 급성간염, 낙태, 부인병, 산전후통, 소아경간, 양혈소옹, 월경이상, 자궁출혈, 종독, 종창, 진정, 진통, 청심제번, 타태, 탈모증, 통경, 혈폐, 협심증, 활혈, 활혈거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부위에 김을 쐬고 닦아 내거나, 고를 만들어 바른다.
단풍마 천산룡(穿山龍)
효능: 갑상샘종, 강장 보호, 거풍제습, 건위, 건위강장, 경선결핵, 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 만성 요통, 몽정, 소영, 소화불량, 양모발약, 열질, 오십견, 옹종, 요통, 유옹, 유종, 자양강장, 자양 보로, 종독, 지사, 지해거담, 토담, 토혈 각혈, 통리수도, 폐기천식, 해독, 해라, 허약체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뿌리거나 개어 바른다.
달래 해백(薤白)
효능: 개선, 몽정, 비암, 살충, 설사, 소곡, 심장염, 온중, 요삽, 종독, 진통, 폐렴, 하기, 하리, 해독, 후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달맞이꽃 월하향(月下香)
효능: 감기, 고혈압, 기관지염, 당뇨, 신장염, 인후염, 인후 통증, 피부염, 해열, 화농, 화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닭의장풀 압척초(鴨跖草)
효능: 간염, 감기, 거어, 결막염, 곽란, 당뇨, 옹종, 이질, 인후 통증, 적면증, 조갈증, 종기, 종독, 지혈, 청열, 치열, 타박상, 토혈, 통리수도, 폐기천식, 해독, 혈뇨, 협심증, 토혈 각혈, 혈뇨, 혈변,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담배 연초(煙草)
효능: 개선, 버짐, 악창, 옴, 옹종, 완선, 제충제, 종기, 진통, 통기, 해독살충, 행기지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부위를 닦아 내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부위에 개어 붙인다.
담배풀 학슬(鶴蝨)
효능: 간염, 거담, 구충, 급성간염, 살충, 소아 경풍, 악창, 종창, 지혈, 청열, 치핵, 타박상, 피부소양증, 학질, 해독, 해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서 닦아낸다. ☞ 충충에 의한 복통이 아니면 복용을 금한다.
담쟁이덩굴 지금(地錦)
효능: 거풍, 경혈, 구건, 구창, 근골동통, 금창, 이완출혈, 제습, 종기, 종창, 종통, 지구역, 지통, 지혈, 치통, 통경, 편두통, 피부염, 허약체질,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당매자나무 소벽(小蘗)
효능: 간 기능회복, 간장염, 건위, 고비, 변비, 사하, 안질, 옹종, 음낭습, 일체안병, 림프절염, 장염, 장위카타르, 진해, 폐렴, 하리, 해독,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부위에 뿌린다.
대극 대극(大戟)
효능: 당뇨, 발한, 백선, 사독, 사하 축수, 소종산결, 악성종양, 옹종, 이뇨, 임질, 임파선염, 제습, 종독, 진통, 치통, 통경, 풍습, 흉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 허약한 사람이 먹으면 토혈하기도 한다.
대나물 은시호(銀柴胡)
효능: 간장보호, 가래약, 골증, 골증열, 식은땀, 소아경간, 소아오감, 절옹, 청감열, 퇴허열, 학질, 해열, 허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대추나무 대조(大棗)
효능: 감기, 강심제, 건망증, 건 위, 경련, 고혈압, 골절, 과로, 과민성대장증후군, 구취, 급성간염, 기관지염, 기력증진, 만성피로, 목소양증, 부자중독, 소아천식, 신경쇠약, 요통, 위경련, 위장염, 유즙 결핍, 임파선염, 진정, 진통, 축농증, 허약체질, 호흡기질환, 후두염, 흉부냉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댑싸리 지부자(地膚子)
효능: 강장, 개선, 과실식체, 과실중독, 난관난소염, 대하, 동통, 명목, 목통, 보약, 수은중독, 악창, 유선염, 음낭습, 음부소양, 발기불능, 이뇨, 이소변, 임질, 적리, 적백리, 전립선비대증, 종독, 청습열, 통리수도, 흉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더덕 양유(羊乳)
효능: 강장보호, 거담, 건위, 경련, 경풍, 고혈압, 고환염, 보익, 보폐, 소종배농, 식도암, 안오장, 옹종, 유방암, 유선염, 유즙결핍, 음낭습, 음부질병, 음양음창, 인후염, 임파선염, 정력증진, 제습, 천식, 최유, 편도선염, 폐기천식, 폐혈, 풍한, 피부노화방지, 후두염, 건비위, 흉통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낸다
도깨비바늘 귀침초(鬼針草)
효능: 간염, 감기, 견교독, 급성간염, 기관지염, 복통, 상처, 설사, 소종, 이질, 정종, 창종, 청열, 충독, 타박상, 학질, 해독,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이거나 짓찧어 상처 부위를 닦아내거나 붙인다.
도깨비부채 반룡칠(盤龍七), 암타(巖陀)
효능: 거풍습, 관절염, 월경불순, 타박상, 해열, 활혈조경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내복): 짓찧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도꼬마리 창이자(蒼耳子)
효능: 간열, 감창, 강직성 척추관절염, 거품 대변, 고혈압, 관절염, 근골동통, 금창, 나력, 두통, 매독, 명목, 발한, 사지 경련, 연주창, 열독증, 음부질병, 자궁냉증, 장티푸스, 중풍, 진통, 축농증, 치조농루, 치질, 치통, 태독, 통리수도, 편도선염, 풍, 풍비, 피부소양증, 해독, 해열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도라지 길경(桔梗)
효능: 감기, 거담, 고혈압, 골절, 기관지염, 늑막염, 담, 배농, 보익, 복통, 선폐거담, 소아 해열, 실뇨, 옹종, 위산과다증, 인후 통증, 임파선염, 종기, 종독, 지혈, 진정, 진통, 척추질환, 천식, 치핵, 탄산 토산, 토혈 각혈, 편도선염, 폐결핵, 폐기천식, 폐혈, 해소, 해열, 후두염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즙을 내어 바른다.
독말풀 양금화(洋金花), 만다라(曼陀羅)
효능: 각기, 간염, 간질, 간허, 감기, 경련, 경풍, 나병, 마취, 소아 경풍, 월경이상, 장염, 진경, 진정, 진통, 천식, 탈항, 폐기천식, 히스테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 독성이 강함으로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독활 독활(獨活)
효능: 강정, 강장, 거담, 거풍조습, 곽란, 구토, 당뇨, 당뇨병, 대보 원기, 동상, 명안, 보비익폐, 보익, 사기, 생진지갈, 설사, 식욕, 신경쇠약, 신진대사촉진, 암세포살균, 위암, 이뇨, 익기, 천식, 췌장암, 토혈, 파상풍, 해열, 활혈지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돈나무 칠리향(七里香)
효능: 개선, 결막염, 고혈압, 골절증, 곽란, 관절염, 동맥경화, 소종독, 습진, 이질, 임비, 종독, 치통, 타박상, 피부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 내고 짓찧어 붙인다.
돌나물 석지갑(石指甲)
효능: 간장병, 간염, 마른버짐, 기관지염, 대하증, 선혈, 옹종, 인후통증, 종독, 청열소종, 타박상, 해독, 해열, 허혈통, 화상,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돌콩 야대두등(野大豆藤)
효능: 거담, 건비. 건비위, 건위, 견비통, 근골동통, 상근, 오십견, 요통, 자양강장, 자한, 타박상, 허약체질, 어지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동백나무 산다화(山茶花)
효능: 건선, 경혈, 산 어소 종, 양 혈지 혈, 어혈, 연골증, 월경이상, 이뇨, 인후 통증, 자궁출혈, 장 출혈, 종독, 지혈, 타박상, 토혈 각혈, 통리수도, 화상,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 내어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낸 후 마유(麻油)에 개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동부 강두(豇豆)
효능: 건 비보신, 건 비위, 근골동통, 기부족, 백대하, 비위허약, 빈뇨, 사리, 소갈, 요통, 자한, 토역, 하리, 현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두릅나무 총목피(楤木皮)
효능: 간염, 강장, 강정자신, 강정제, 거담, 거풍활혈, 건 비위, 건 위, 고혈압, 골절번통, 골절증, 골증열, 관절염, 당뇨병, 만성간염, 보기안신, 신경쇠약, 위경련, 위궤양, 위암, 위장염, 음위, 장위카타르, 중풍, 축농증, 타박상, 통풍, 폐렴, 풍, 해열, 현벽, 활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두충 두충(杜沖)
효능: 간 기능회복, 강근골, 강장, 강장보호, 고혈압, 관절염, 근골동통, 근육통, 근골위약, 근육통, 기부족, 기억력감퇴, 보간신, 사태, 신경통, 안태, 요통, 음낭습, 발기불능, 이완출혈, 정력증진, 진정, 진통, 척추질환, 척추카리에스, 통리수도, 피부노화방지, 하지근무력증, 어지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하여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둥굴레 옥죽(玉竹)
효능: 간작반, 강장 보호, 건해, 근골 위약, 당뇨, 만성피로, 명목, 생진 양위, 소아천식, 오지, 오풍, 완화, 요통, 윤폐, 자양, 자양강장, 장생, 정력증진, 제습, 조갈증, 종창, 청력보강, 치열, 치한, 태독, 통풍, 폐결핵, 폐렴, 폐창, 풍습, 풍열, 피부 윤택, 해열, 허약체질, 협심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들깨 백소자(白蘇子)
효능: 감기, 강장, 강장 보호, 건망증, 건위, 고혈압, 기관지천식, 만성위염, 만성피로, 소화, 안오장, 위산과다증, 위장염, 윤폐, 윤피부, 음종, 저혈압, 정력증진, 정수 고갈, 조갈증, 충독, 칠독, 피부 윤택, 해소.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등골나물 칭간초(秤杆草)
효능: 감기, 거서, 고혈압, 관절염, 기관지염, 당뇨, 맹장염, 보익, 산후복통, 생기, 소종, 수종, 월경이상, 자궁암, 중풍, 치암, 토혈, 통경, 편도선염, 폐렴, 폐암, 풍, 피부암, 해독, 해열, 화습, 활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 닦아낸다.
등칡 관목통(關木通)
효능: 강심제, 강화, 구내염, 복통, 사독, 신경쇠약, 요독증, 이뇨, 종독, 주독, 진통, 진해, 창저, 천식, 청혈, 치열, 치질, 통경, 하유, 해독, 해열, 현기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딱지꽃 위릉채(萎陵菜)
효능: 골격통, 골절, 근골동통, 근육통, 보익, 부인하혈, 양혈, 지혈, 옴, 이질, 자궁내막염, 제습, 종독, 지혈, 청열해독, 토혈각혈, 통경, 폐결핵, 폐보, 풍, 하리,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사용한다.
땅콩 낙화생(落花生)
효능: 각기, 감기, 강장, 강장보호, 거담, 건위, 고혈압, 기관지염, 담, 만성간염, 만성피로, 반위, 암, 위궤양, 유즙결핍, 윤폐, 조해, 치매증, 피부노화방지, 화위,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중탕하여 복용한다.
떡갈나무 곡피(槲皮)
효능: 간 기능회복, 강장, 강장보호, 수감, 악창, 이질, 종독, 하혈, 해울결, 활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태워서 재를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달이거나 고(膏)를 만들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뚝갈 패장(敗醬)
효능: 간열, 간염, 개선, 거어지통, 경혈, 단독, 대하증, 부종, 산후제증, 소염, 소종, 배농, 안질, 어혈, 열독증, 열병, 옹종, 위궤양, 이하선염, 자궁내막염, 자궁암, 장위카타르, 정혈, 종기, 종창, 진통, 청혈해독, 치열, 치질, 치핵, 풍독, 풍비, 해독, 해열, 화상, 후두암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띠 백모근(白茅根)
효능: 각혈, 간염, 강정 안정, 강정제, 개선, 결핵, 경혈, 고혈압, 구갈, 구충, 구토, 부종, 소염, 신장염, 양혈지혈, 월경불순, 월경이상, 이뇨, 종창, 주독, 지혈, 청열이뇨, 청폐위열, 칠독, 코피, 토혈, 토혈 각혈, 통리수도, 폐병, 피부염, 한열왕래, 해열, 혈폐,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를 내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마 산약(山藥)
효능: 갑상샘염, 강장 보호, 건망증, 경선결핵, 구창, 근골동통, 기억력감퇴, 만성 위장염, 만성피로, 몽정, 보비폐신, 소아토유, 소영, 야뇨증, 양모발약, 양위, 요삽, 위장염, 원형탈모증, 유옹, 유창통, 이명, 익기양음, 자양불로, 진정, 청력보강, 폐결핵, 한열왕래, 해라, 허약체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소화불량자는 복용을 금한다.
마가목 마가자(馬家子)
효능: 강장, 강장보호, 거풍, 관상동맥질환, 구충, 기관지염, 보비생진, 보혈, 신체허약, 양모, 장위카타르, 중풍, 진해, 청폐지해, 폐결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마름 능실(菱實)
효능: 강장, 건 비위, 건 위, 근골 위약, 유선염, 자궁암, 주독, 제 번지 갈, 제암, 창진, 청서 해열, 치암, 탈항, 피부암, 해독, 해열, 허약체질, 혈폐
사용법: (내복): 가루를 내어 꿀물과 함께 복용하거나, 약한 불로 오래 달여 먹는다.
마삭줄 낙석등(絡石藤)
효능: 간염, 강장, 강장 보호, 거풍, 거풍통락, 경혈, 관절염, 관절통, 구열, 근골통, 안태, 양혈소종, 인후염, 인후 통증, 림프절염, 제습, 종기, 종독, 지리, 지혈, 진통, 타박상, 토혈 각혈, 통경, 통리수도, 편도선염, 풍, 풍비, 풍한, 해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 비위가 허약한 자는 복용을 금한다.
마타리 패장(敗醬)
효능: 간염, 개선, 거어지통, 급성간염, 대하증, 단독, 부종, 소염, 소종배농, 안질, 어혈, 옹종, 위궤양, 위장염, 일체안병, 정양, 정혈, 종창, 진통, 청열해독, 피부소양증, 해독, 해열, 화상,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마편초 마편초(馬鞭草)
효능: 간염, 소수종, 수종, 이뇨, 이질, 종기, 청열해독, 촉산, 치주염, 태독, 통경, 통증, 피부병, 학질, 해열, 활혈산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또는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낸다. ☞ 비위가 허한 자는 복용을 금한다.
만년청 만년청근(萬年靑根)
효능: 강심, 강심제, 강장, 강장 보호, 기관지염, 당뇨병, 양혈지혈, 이뇨, 명목, 자양, 제습, 종독, 종염, 종창, 치핵, 풍습, 해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즙을 내어 상처 부위에 바르거나,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만병초 석남엽(石南葉)
효능: 강심, 강장, 강장 보호, 강정제, 건비, 건 위, 관절염, 관절통, 구토, 류머티즘, 발진, 발한, 불임증, 수렴, 신허, 양위, 요통, 월경불순, 월경이상, 이뇨, 진통, 최음제, 통리수도, 풍, 풍비, 하리, 항균,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만수국 만수국(萬壽菊)
효능: 일사병, 열사병, 통리수도, 해열, 치질, 해수, 백일해, 아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분말을 물에 풀어 복용한다. (외용): 분말을 내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바른다.
말냉이 석명(菥蓂)
효능: 간염, 급성간염, 가슴막염, 명목, 보강, 신경통, 신장염, 이뇨, 익기, 일체안병, 자궁내막염, 종독, 중풍, 현기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말오줌나무 접골목(接骨木)
효능: 각기, 건비위, 나창, 자궁하수, 제습, 진통, 탄산토산, 탈항, 통리수도, 풍, 풍사, 풍한, 각기, 감기, 경련, 골절증, 관절염, 자한, 정혈, 제습, 지혈, 진통, 타박상, 통풍,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말오줌때 야아춘자(野鴉椿子)
효능: 각기, 건 비위, 감기, 경련, 골절증, 관절염, 나창, 자궁하수, 자한, 정혈, 제습, 지혈, 진통, 타박상, 탄산 토산, 탈항, 통리수도, 통풍, 풍, 풍한,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망초 비봉(飛蓬)
효능: 개선, 거풍지양, 결막염, 구강염, 구내염, 구창, 만성피로, 신경통 안병일체, 제습, 종독, 주독, 주황병, 중이염, 지혈, 청열, 치통, 치풍, 치핵, 풍, 하리, 해독,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매발톱 누두채(縷斗菜)
효능: 간장염, 거습, 건비, 건위, 결막염, 고미, 과민성대장증후군, 담석, 변비, 사하, 산진, 생리불순, 설사, 안질, 열질, 옹종, 음낭습, 일체안병, 림프절염, 장염, 조습, 진해, 통경활혈, 해열, 황달, A형간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린다.
매발톱나무 소벽(小蘗)
효능: 간장염, 거습, 건비, 건위, 결막염, 과민성대장증후군, 담석, 변비, 사하, 생리불순, 설사, 안질, 열질, 옹종, 음낭습, 림프절염, 장염, 조습, 진해, 통경활혈, 해열, 황달, A형간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부위에 뿌린다.
매실나무 오매(烏梅)
효능: 간 기능회복, 강근골, 강장보호, 거담, 건위, 곽란, 목마름, 구내염, 구역질, 만성피로, 만성해수, 부인하혈, 소아두창, 아편중독, 역리, 위경련, 인두염, 자음, 자한, 장위카타르, 주독, 중독증, 진통, 치통, 타박상, 탄산토산, 편두통, 폐렴, 하리, 해열, 혈뇨, 화상, 후두염, 흥분제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맥문동 맥문동(麥門冬)
효능: 강심제, 강장 보호, 객혈, 건위, 건해, 구갈, 기관지염, 변비, 소갈, 소아번열증, 양위, 완화, 유즙 결핍, 음위, 이뇨, 익위생진, 인건구조, 자양강장, 조갈증, 졸도, 종기, 진정, 청심제번, 탈모증, 태아양육, 토혈, 토혈 각혈, 통리수도, 폐결핵, 피부노화방지, 해열, 허약체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비위 허한에 인한 설사, 풍한에 의한 해수에는 복용을 금한다.
맨드라미 계관화(鷄冠花)
효능: 각혈, 개선, 거담, 구토, 대하, 부인하혈, 설사, 요결석, 요혈, 월경이상, 이완출혈, 임신중독증, 임질, 자궁내막염, 자궁암, 자궁염, 적백리, 제출혈, 조경, 지혈, 치루 하혈, 치루, 치통, 치풍, 치핵, 타박상, 탈항, 토혈각혈, 풍, 피부병, 피부소양증, 하리, 해수, 해열, 혈뇨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 또는 환제로 복용한다.
머위 봉두근(蜂斗根)
효능: 각혈, 감기, 건위, 경혈, 기관지염, 보비, 보신, 수종, 식강어체, 식도암, 식욕, 식해어체, 안심 정지, 안정, 옹종, 윤폐하기, 이뇨, 인후 통증, 제습, 종독, 종창, 지해화염, 진정, 진해, 천식, 치루, 치핵, 타박상, 토혈 각혈, 통리수도, 편도선염, 폐결핵, 풍습, 해독, 해수, 화농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멀구슬나무 고련피(苦楝皮)
효능: 개선, 거습, 구충, 이뇨, 조습, 지혈, 치핵,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내다.
멀꿀 야목과(野木果)
효능: 강심제, 건위, 구충, 금창, 소염, 이뇨, 배농, 보정, 부종, 익정위, 인후, 진통, 진해, 창달, 통경, 통혈기, 해산촉진,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멍석딸기 호전표(薅田)
효능: 간열, 감염, 감기, 강장, 강장보호, 경혈, 버짐, 산어지통, 살충, 악창, 양모, 양모발약, 옴, 인후통증, 림프절염, 제습, 종독, 지갈, 진통, 청량, 치핵, 타박상, 토혈, 토혈각혈, 통리수도, 풍, 하리, 해독, 해수, 해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 낸다.
메꽃 선화(旋花)
효능: 감기, 강장 보호, 강정제, 건위, 고혈압, 근골동통, 근육통, 금창, 기억력감퇴, 당뇨, 만성피로, 윤피부, 이뇨, 자양강장, 자음, 정력증진, 주름살, 중풍, 천식, 청열, 춘곤증, 치열, 통기, 통리수도, 폐기천식, 해수, 허약체질, 활혈, 흥분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메밀 교맥(蕎麥)
효능: 각혈, 감기, 고창, 고혈압, 나력, 당뇨, 만성하리, 월경이상, 옹종, 위경련, 종독, 하기소적, 하리, 학질, 해독, 화상, 황달
사용법: (내복):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낸 후 개어서 상처 부위에 붙인다. ☞ 잎을 생으로 먹으면 동풍으로 신체 소양 또는 설사를 일으킨다.
며느리밑씻개 낭인(廊茵)
효능: 독사 물린 상처, 발육촉진, 소종해독, 가려움증, 습진, 식욕부진, 옴, 옹종, 자궁하수, 종독, 치질, 치핵, 타박상, 태독, 통경, 피부병, 해독, 활혈산어, 활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散劑)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 허약체질 자는 신중을 기해서 사용한다.
며느리배꼽 강판귀(扛板歸)
효능: 간염, 개선, 급성간염, 백일해, 수종, 습진, 옴, 이수소종, 종독, 청열활혈, 편도선염, 피부병, 하리, 해독, 해열, 활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 허약체질 자는 신중을 기해서 사용한다.
명아주 여엽(黎葉)
효능: 강장보호, 개선, 건위, 근계, 백전풍, 살충, 습창양진, 아감, 이질, 장염, 장위카타르, 종기, 중풍, 청열이습, 충독, 충치, 치조농루, 치통, 탈피기급, 통리수도, 폐기, 천식, 풍열, 하리, 한창,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모과나무 모과(木瓜), 명사(溟)
효능: 각기, 감기, 강장보호, 거풍, 건비위, 결핵, 곽란, 구토, 근육통, 금창, 기관지염, 보혈, 소담, 소아감적, 소아경풍, 소아두창, 수종, 식행체, 요부염좌, 유즙결핍, 음수체, 장결핵, 중풍, 지구역, 진통, 탄산토산, 통기, 통리수도, 폐결핵, 폐기천식, 하지근무력증, 해수,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과용시 치아와 뼈가 손상될 수도 있다.
모란 목단피(牧丹皮)
효능: 간질, 개선, 객혈, 경련, 경혈, 고혈압, 골증열, 관상동맥질환, 관절염, 대하, 소염, 소아경결, 야뇨증, 여드름, 열병, 옹종, 요통, 이뇨, 임질, 자궁암, 적취, 정혈, 종기, 지혈, 진경, 진정, 진통, 창종, 치핵, 타박상, 타태, 통경, 편두통, 하리, 해열, 혈림, 혈폐, 활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월경 과다자는 복용을 금한다.
모시대 제니(薺苨)
효능: 간염, 경기, 급성간염, 기관지염, 열광, 열질, 옹종, 익담기, 인후통증, 종독, 청열, 폐결핵, 한열, 한열왕래, 해독, 해수, 해열, 혈림, 화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개어 바른다.
모시풀 저마근(苧麻根)
효능: 견광, 경혈, 광견병, 안태, 양혈지혈, 옹종, 이뇨, 지혈, 제충제, 청열안태, 치루, 치출혈, 타박상, 태루, 토혈각혈, 통경, 하혈, 해독, 해열, 혈뇨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거나 짓찧어서 상처 부위에 붙인다.
목련 신이(辛夷)
효능: 강장보호, 거담, 거풍, 고혈압, 구충, 두통, 양모발약, 요통, 조비후증, 제습, 진정, 진통, 축농증, 치통, 통규, 타박상, 폐결핵, 혈색불량, 화분병,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코 안에 뿌린다.
목화 면화자(綿花子)
효능: 간작반, 기관지염, 보허, 온신, 옹종, 요결석, 요통, 위경련, 저혈압, 종독, 지혈, 진통, 척추질환, 최유, 치루, 칠독, 통경, 피임, 허약체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사용한다.
무 내복자(箂菔子)
효능: 가스중독, 각기, 간장암, 감기, 개선, 거담, 건위, 견비통, 고혈압, 골다공증, 관절염, 구내염, 기관지염, 마약중독, 소식제창, 소아감적, 신장증, 야맹증, 요독증, 음낭습, 인후통증, 자궁암, 저혈압, 전립선비대증, 주독, 중이염, 축농증, 편두통, 폐기천식, 폐렴, 해열, 흉통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무궁화 목근피(木槿皮)
효능: 건 비위, 경혈, 구갈증, 구토, 기관지염, 대하증, 살충, 소종, 양혈, 원형탈모증, 위장염, 이뇨, 이혈, 인두염, 인후 통증, 임질, 장염, 장위카타르, 장 출혈, 적백리, 점활, 정혈, 지사, 지혈, 청혈, 축농증, 치열, 치핵, 탈항, 폐기천식, 피부병, 피부염, 하리, 해독, 해열, 후두염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서 상처 부위를 씻어 낸다.
무릇 면조아(綿棗兒)
효능: 강근, 강심, 강심제, 강장, 강장 보호, 강정 안정, 건뇌, 건위, 구충, 근골구급, 근골동통, 근육통, 소종지통, 옹종, 요통, 유선염, 유옹, 유창통, 자양강장, 장염, 장옹, 장위카타르, 종독, 진통, 타박상, 해독, 해열, 허약체질, 활혈, 활혈해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고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무화과나무 무화과(無花果)
효능: 각혈, 간작반, 개선, 마른버짐, 건위청장, 구충, 살충, 소종해독, 옹종, 완화, 요통, 위암, 인후통증, 자색반병, 자양, 자양강장, 장염, 장위카타르, 종독, 주독, 지혈, 치질, 치핵, 타박상, 탈피기급, 토혈각혈, 하리, 해독, 협심증, 회충, 흉협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생식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내거나 가루 내어 개어 붙인다.
문주란 나군대(羅裙帶)
효능: 객혈, 거담, 관절통, 기관지염, 백일해, 산어소종, 옹종, 적리, 종통, 진통, 창종, 청화해독, 타박상, 토혈, 폐결핵, 해독, 해수, 해열, 후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내거나,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물레나물 홍한련(紅旱蓮)
효능: 간염, 결핵, 구충, 근골동통, 부스럼, 소종, 연주창, 외상, 월경이상, 임파선염, 종독, 지혈, 타박상, 토혈 각혈, 평간, 해독, 해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물봉선 야봉선(野鳳仙)
효능: 난산, 사독, 오식, 요 흉통, 위궤양, 종독, 청량해독, 타박상, 해독
사용법: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물옥잠 우구(雨韭)
효능: 거습, 단독, 종독, 청열, 치질, 폐기천식, 해독,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개어 붙인다.
물푸레나무 진피(秦皮)
효능: 간염, 간질, 건위, 급성간염, 기관지염, 생기, 소염, 수렴, 실뇨, 안질, 요독증, 요슬산통, 일체안병, 장염, 장위카타르, 제습, 조습, 지혈, 진통, 청간 명목, 청열해독, 출혈, 통풍, 평천지해, 풍습, 하리,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 위를 상하게 함으로 위가 허약한 자는 복용을 금한다.
미나리아재비 모간(毛茛)
효능: 간염, 개선, 결막염, 관절염, 급성간염, 기관지염, 명목, 살충, 옹저, 이습퇴황, 종독, 진통, 창종, 치통, 편두통,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수전(水煎)하여 상처 부위를 닦아내거나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미모사 함수초(含羞草)
효능: 감기, 기관지염, 대상포진, 불면, 소아감적, 소적, 안신, 월경이상, 장염, 장위카타르, 종독, 진정, 진통, 청열, 폐기천식,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미역줄나무 뇌공등(雷公藤)
효능: 거풍제습, 관절염, 서근활혈, 자궁출혈, 진통, 타박상, 통경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미치광이풀 동랑탕(東莨菪)
효능: 감기, 구토, 근육통, 동통, 수한삽장, 옹종, 옹창종독, 외상출혈, 위산과다증, 위장염, 정신광조, 진정, 진통, 치통, 치핵, 탈항, 통리수도, 폐기천식, 해경, 해독, 해열, 흉협고만
사용법: (내복):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부위에 개어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씻어 낸다. ☞ 중독증상을 일으키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민들레 포공영(蒲公英)
효능: 강장 보호, 강정제, 갱년기장애, 결핵, 고혈압, 금창, 기관지염, 대하증, 만성위염, 만성피로, 사태, 소아 변비증, 악창, 옹종, 완화, 위궤양, 위산과다증, 위암, 유방염, 음부질병, 인후염, 림프절염, 정력증진, 정종, 종독, 정혈, 충혈, 치핵, 폐결핵, 피부병, 허약체질, 후두염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민백미꽃 백전(白前)
효능: 강기, 거담, 건위, 금창, 이뇨, 익정, 부인병, 부종, 중풍, 지해, 출혈, 폐기천식, 한열, 해소,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바늘꽃 심담초(心膽草)
효능: 고혈압, 구충, 방광염, 소염, 수감, 신장염, 양혈거풍, 열사병, 요도염, 일사병, 적리, 적백리, 정혈, 제습, 지갈, 지리, 지혈, 출혈, 치암,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개어서 붙인다.
바위솔 와송(瓦松)
효능: 간열, 간염, 강장, 소종, 습진, 옹종, 유방암, 이습지리, 자궁암, 종독, 지혈, 치창, 청열해독, 통경, 학질, 해열, 화상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및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또는 숯을 만들어 분말로 한 후 상처 부위에 사용한다.
바위취 호이초(虎耳草)
효능: 동상, 백일해, 보익, 열광, 이명, 종기, 종독, 중이염, 치열, 폐혈, 풍, 해독, 해수, 해열, 화상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즙을 내어 상처부위에 바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낸다.
박 고호로(苦壺盧)
효능: 간염, 간질, 감기, 개선, 소아구루, 악창, 양모발약, 옴, 옹종, 이수소종, 종기, 종독, 치아동통, 통리수도,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에 바른다.
박주가리 나마(蘿藦)
효능: 간반, 강장, 강장 보호, 강정제, 결핵, 백선, 백전풍, 보익정기, 양위, 옹종, 유즙 결핍, 발기불능, 자반병, 정기, 정력증진, 지혈, 탈피기급, 통유, 해독, 허약체질, 홍조 발진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박태기나무 자형피(紫荊皮)
효능: 소종해독, 옹종, 월경이상, 월경통, 어혈, 인후통, 제습, 중풍, 천식, 타박상, 통경, 해독, 혈폐, 활혈, 활혈통경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이거나 고제(膏劑)로 상처 부위에 바른다.
박하 박하(薄荷)
효능: 감기, 건위, 결핵, 경련, 곽란, 구충, 구토, 구풍, 기관지염, 발한, 비염, 선통, 소아경풍, 소화, 연주창, 열병, 위경련, 이급, 인후통증, 일체안병, 자한, 제습, 종독, 지혈, 진양, 진통, 치조농루, 치통, 타박상, 편두통, 폐결핵, 폐렴, 풍혈, 하리, 해열, 현훈, 혈리, 화분병, 흥분제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바른다. ☞ 유즙분비 부작용이 있다.
반디지치 지선도(地仙桃)
효능: 강장, 개선, 건위, 동상, 소종지통, 습진, 온중건위, 이뇨, 익기, 임질, 지혈, 창종, 충독, 해독, 화상,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반하 반하(半夏)
효능: 감기, 건위, 거풍, 결핵, 경련, 구충, 구토, 구풍, 기관지염, 발한, 비염, 선통, 소아 경풍, 소화, 연주창, 열병, 위경련, 이급, 인후 통증, 자한, 제습, 종독, 지혈, 진양, 진통, 치조농루, 치통, 타박상, 편두통, 폐결핵, 폐렴, 풍열, 풍혈, 하리, 해열, 현훈, 혈리, 화분병, 흥분제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 유독하므로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밤나무 율자(栗子)
효능: 강장, 강장보호, 강신, 건비위, 경혈, 근골동통, 금창, 기관지염, 수감, 아감, 양모, 양모발약, 양위, 오심, 요각쇠약, 이명, 자양강장, 정력증진, 절옹, 종독, 정력증진, 주름살, 지혈, 치출혈, 칠독, 토혈각혈, 표저, 피부 윤택, 하리, 해독, 허약체질, 어지럼 구토, 혈변, 화상, 활혈
사용법: (내복): 생식하거나 삶아 먹는다.
배롱나무 자미화(紫薇花)
효능: 감기, 개선, 산후혈붕, 습진, 월경이상, 이질, 장위카타르, 종독, 지혈, 창상 출혈, 치통, 태독,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바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배암차즈기 여지초(荔枝草)
효능: 각기, 강장,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살충, 양혈, 이수, 인후통증, 자궁출혈, 조경, 치핵, 타박상, 통경, 토혈각혈, 통리수도, 폐혈, 해독, 해수, 혈뇨, 홍조발진, 화농, 화상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낸다.
배초향 곽향(藿香)
효능: 감기, 개선, 거서, 건위, 곽란, 구토, 비위, 장염, 장위카타르, 제습, 종기, 종독, 중풍, 토역, 통기, 풍습, 한열왕래, 해표, 화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배풍등 배풍등(排風藤)
효능: 간염, 감기, 거풍해독, 관절염, 관절통, 급성간염, 부종, 신경통, 옹종, 요도염, 종기, 종독, 청열, 청열이습, 풍, 학질, 해독,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 낸다.
백당나무 계수조(鷄樹條), 불두수(佛頭樹)
효능: 가려움증, 개선, 거풍통락, 관절염, 관절통, 버짐, 악창, 옴, 종독, 진통, 타박상, 통경, 풍, 화혈소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부위를 닦아낸다.
백량금 주사근(朱砂根)
효능: 구충, 기관지염, 산어지통, 이뇨, 제습, 조경, 종독, 진통, 청열해독, 타박상, 태독, 편도선염,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백리향 지초(地椒)
효능: 거풍지통, 건비, 건위, 경련, 구충, 기관지염, 온중산한, 위장염, 제습, 진경, 진통, 탄산 토산, 하혈, 해수, 해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백서향 서향화(瑞香花), 서향근(瑞香根), 서향엽(瑞香葉)
효능: 류마티스, 신경통, 인후통, 종기, 창양, 치통, 통풍, 해독.
사용법: (내복): 꽃을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뿌리를 짓찧어 목 안에 넣는다.
백선 백선피(白鮮皮)
효능: 간염, 개선, 건선, 낙태, 두통, 열독증, 오풍, 요통, 위장염, 유즙 결핍, 이뇨, 제습, 조비후증, 중풍, 청열해독, 타태, 탈피기급, 통경, 통리수도, 통풍, 폐결핵, 폐기천식, 풍, 풍비, 풍 열, 풍질, 피부병, 피부소양증, 해독, 해수, 해열, 화분병, 황달, A형간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내다. ☞ 하반신이 허한 자는 복용을 금한다.
백운풀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효능: 간염, 골반염, 이질, 인후염, 종기, 청열이습, 편도선염, 해독,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백정화 백마골(白馬骨)
효능: 거풍, 나력, 목적 동통, 수종, 이질, 청열, 치통, 풍습, 후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즙을 내어 상처부위에 바른다.
뱀딸기 사매(蛇莓)
효능: 각혈, 각기, 골수암, 당뇨병, 대열, 상한, 소종해독, 양혈거풍, 열독증, 옹종, 월경이상, 위염, 장위카타르, 제독, 종독, 부기, 중풍, 지해지혈, 진해, 청열양혈, 타박상, 태독, 토혈, 통경, 통혈, 폐기천식, 해독, 해수, 해열, 혈압조절, 화상,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벌노랑이 백맥근(百脈根)
효능: 감기, 강장, 고혈압, 대장염, 인후염, 인후통증, 이질, 장염, 정혈, 지갈, 지혈, 치통, 치핵, 하기, 해열, 혈변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범꼬리 권삼(拳蔘)
효능: 간질, 경련, 구금불언, 구내염, 언어장애, 열병, 옹종, 우울증, 이습, 림프절염, 장위카타르, 조현병, 종독, 지사, 지혈, 진경, 진정, 진통, 청열, 통경, 파상풍, 하리,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범부채 사간(射干)
효능: 각기, 강화, 구창, 무월경, 소염, 아통, 외이도염, 외이도절, 인후 통증, 일체안병, 림프절염, 진정, 진통, 진해, 청열해독, 치통, 편도선염, 폐렴, 해수, 해열, 현훈구토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 장기간 복용 시 허한 자는 설사하기 쉬우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벗풀 야자고(野慈姑)
효능: 경혈, 부종, 옹종, 유즙 결핍, 이뇨, 조갈증, 지갈, 지방간, 창종, 최유, 통유, 폐부종, 항문주위농양, 해독, 해수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벚나무 화피(樺皮)
효능: 각기, 견비통, 경풍, 경혈, 과실식체, 과실중독, 대하, 소아경풍, 수종, 식해어체, 심장염, 완화, 유옹, 유종, 음수체, 주독, 진통, 치통, 통경, 통변, 피부소양증, 피로회복, 해독, 해소, 해수, 어지럼구토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 낸다.
벼 곡아(穀芽)
효능: 간경변증, 건비개위, 건비위, 건위, 경혈, 고치, 구안괘사, 난청, 사태, 소식화중, 소아 중독증, 소아토유, 식견 육체, 식우유체, 식해 삼체, 안태, 위궤양, 유정증, 윤피부, 음수체, 익위생진, 일사상, 자한, 지도한, 치핵, 토혈 각혈, 통기, 퇴허열, 피부노화방지, 피부 미백, 현훈, 홍역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혹은 가루약으로, 죽을 쑤어 복용한다.
벼룩나물 천봉초(天蓬草)
효능: 간염, 감기, 급성간염, 상풍감모, 이질, 종독, 치루, 타박상,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벽오동 오동자(梧桐子)
효능: 감기, 거풍제습, 건 위, 고혈압, 골절, 과식, 구내염, 기력증진, 기부족, 백발, 사지 마비, 설사, 순기, 원형탈모증, 장 출혈, 졸도, 종기, 지혈, 청열해독, 타박상, 해수, 현훈, 화위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별꽃 번루(蘩縷)
효능: 산후복통, 악창종, 장위카타르, 정양, 정혈, 종독, 청열해독, 최유, 충치, 치통, 타박상, 피임, 해열, 화어지통,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보리 맥아(麥芽)
효능: 각기, 간 기능회복, 감기, 강장 보호, 건비, 건선, 건위, 구토, 부인 하혈, 식감 저체, 식병나체, 식우유체, 요독증, 위궤양, 위 무력증, 위산과소증, 유선염, 유즙 결핍, 윤장, 음수체, 임질, 자양강장, 진통, 칠독, 타박상, 폐기천식, 현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보풀 수자고(水慈姑)
효능: 강장, 강장 보호, 독사교상, 부종, 옹종, 이뇨, 종독, 지갈, 창종, 최유, 통유, 피부노화방지, 해독
사용법: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복분자딸기 복분자(覆盆子)
효능: 강장, 강장보호, 강정제, 명안, 부인하혈, 보간신, 빈뇨, 양모, 양모발약, 양위, 유정, 유정증, 음왜, 발기불능, 익신고정, 자양강장, 정력감퇴, 정력증진, 정수고갈, 조루증, 지사, 청량, 태생, 통기, 허약체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혹은 술에 담가 복용하기도 한다.
복사나무 도인(桃仁)
효능: 각기, 감기, 개선, 마른버짐, 경혈, 기관지염, 소아경간, 양모발약, 여드름, 열병, 요결석, 요통, 월경이상, 위경련, 윤피부, 음양음창, 자궁근종, 장염, 조현병, 주부습진, 치루, 통경, 편도선염, 폐기천식, 피부미백, 피부소양증, 홍조발진, 환각치료, 황달, 흉부냉증, 흉협통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봉선화 봉선(鳳仙)
효능: 간질, 거풍활혈, 관절염, 난산, 민감체질, 사독, 소 종지 통, 소화, 식해어체, 여드름, 오식, 요 흉통, 월경이상, 임파선염, 종독, 종창, 진통, 타박상, 통경, 편도선염, 폐혈, 해독, 혈색 불량,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 낸다.
부들 포황(蒲黃)
효능: 경혈, 고치, 구창, 난산, 대하, 방광염, 부인 하혈, 소아 탈항, 수렴지혈, 열질, 요도염, 월경이상, 유옹, 음낭습, 음양음창, 이뇨, 이완출혈, 지혈, 치질, 치핵, 타박상, 탈항, 토혈, 토혈 각혈, 통리수도, 폐기천식, 하리, 한열왕래, 혈뇨, 행혈거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개어 붙인다.
부용 목부용화(木芙蓉花)
효능: 강화, 관절염, 늑막염, 소 종지 통, 아통, 양혈해독, 옹종, 완화, 점활, 종독, 치통, 해독, 해수, 해열, 화상,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부처꽃 천굴채(千屈菜)
효능: 각기, 경혈, 뇌암, 방광염, 수감, 수종, 암, 역리, 음종, 이뇨, 이질, 자궁출혈, 적백리, 전립선암, 제암, 종독, 지사, 청열양혈, 피부궤양, 피부암,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부처손 권백(卷柏)
효능: 복통, 월경이상, 지혈, 타박상, 탈항, 토혈, 토혈각혈, 통경, 폐기천식, 폐암, 하혈, 혈뇨, 혈변, 혈폐,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散劑)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거나 가루로 하여 상처 부위에 사용한다.
부추 구자(韮子)
효능: 간경변증, 강정제, 건뇌, 건위, 경련, 구토, 금창, 몽정, 소갈, 산혈, 심장염, 야뇨증, 양위, 요도염, 월경이상, 유정증, 음위, 자양강장, 정장, 조루증, 중풍, 지혈, 진통, 췌장암, 치핵, 칠독, 탈항, 토혈, 통리수도, 폐기천식, 하리, 해독, 해수, 혈뇨, 홍역, 화상, 후종, 흥분제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붉나무 오배자(五倍子)
효능: 고환염, 구내염, 산어지혈, 수렴, 설사, 악창, 옹종, 유정증, 음 낭습, 인후 통증, 종독, 지혈, 창개, 청열해독, 출혈, 충혈, 치통, 탈항, 풍, 하리, 해독, 해수, 혈뇨,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개어 붙인다.
붓꽃 연미(鳶尾)
효능: 개선, 경혈, 나창, 백일해, 옹종, 인후염, 적취, 종독, 주독, 창달, 촌충, 치핵, 타박상, 토혈, 편도선염, 폐렴, 피부병, 해소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 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비비추 자옥잠근(紫玉簪根)
효능: 소변불통, 옹종, 인후종통, 인후 통증, 림프절염, 종독, 진통, 창독, 치통, 타박상, 화상,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비수리 야관문(夜關門)
효능: 보간신, 소아감적, 시력감퇴, 신장염, 안질, 야뇨증, 열사병, 위통, 유옹, 유정, 유정증, 이뇨, 일사병, 폐기천식, 폐음, 해수, 해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비술나무 유백피(楡白皮)
효능: 결핵, 부종, 안태, 이뇨, 통경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 내어 개어 붙이든지 뿌린다.
비자나무 비자(榧子)
효능: 건위, 구충, 기생충, 발모, 변비, 살충, 소아감적, 수종, 야뇨증, 월경이상, 윤폐지해, 장 출혈, 제충제, 조경, 조해, 치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설사하는 자는 복용을 금한다.
비파나무 비파엽(枇杷葉)
효능: 간 기능회복, 간염, 간장암, 개선, 거담, 견비통, 고혈압, 골수암, 골절증, 기관지염, 만성피로, 목소양증, 식도암, 여드름, 오십견, 위궤양, 위암, 유방동통, 윤폐,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 직장암, 질벽염, 탄산토산, 토혈, 통증, 편도선염, 폐결핵, 폐암, 피부윤택, 화상, 후두암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하여 복용한다.
뻐꾹채 누로(漏蘆)
효능: 건위, 고미, 관절염, 근골동통, 소염, 소통 하류, 옹저, 유선염, 유즙 결핍, 림프절염, 제습, 종기, 진정, 청열해독, 치질, 치핵, 해독, 해열, 혈뇨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물로 달여 닦아낸다.
뽀리뱅이 황암채(黃鵪菜)
효능: 감기, 결막염, 관절염, 백대하, 소종, 옹종, 요도염, 요로감염, 유선염, 인후통, 일체 안 병, 종독, 지통, 진통, 청열, 편도선염,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뽕나무 상엽(桑葉), 상지(桑枝), 상백피(桑白皮), 상심자(桑椹子)
효능: 각기, 감기, 강장보호, 갱년기장애, 거담, 고혈압, 관절통, 기관지염, 기억력감퇴, 몽정, 부종, 소아경풍, 소아천식, 수종, 신경통, 안면경련, 야뇨증, 여드름, 온풍, 요통, 월경이상, 유선염, 이명, 자양강장, 조루증, 주부습진, 중풍, 편두통, 폐결핵, 피부윤택, 환각치료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사마귀풀 수죽채(水竹菜)
효능: 간염, 경혈, 고혈압, 소종, 옹종, 위열, 이뇨, 인후 통증, 종기, 청열, 해독, 해수, 해열, A형간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사상자 사상자(蛇床子)
효능: 강정안정, 강정제, 거담, 골통, 관절염, 구충, 대하증, 발한, 백적리, 복통, 수렴 살충, 양위, 요통, 음낭습, 음양, 음양음창, 음위, 자궁내막염, 자궁염, 자궁한냉, 지리, 채물중독, 치통, 탈항, 통변, 파상풍, 풍비, 풍질, 피부소양증, 해수, 활혈소종, 흉부냉증, 흥분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거나 물로 달여서 상처 부위에 바른다.
사위질빵 여위(女萎)
효능: 각기, 간질, 개선, 경련, 골절, 곽란설사, 근골동통, 발한, 복중괴, 사리, 소아경간, 악종, 요삽, 요슬통, 이뇨, 자한, 절상, 진경, 진통, 천식, 탈항, 파상풍, 폐기천식, 풍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사철나무 조경초(調經草)
효능: 강장, 강장 보호, 견비통, 관절염, 관절통, 오십견, 요통, 월경이상, 이완출혈, 자궁출혈, 자한, 진정, 진통, 치열, 통경,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사철쑥 인진호(茵蔯蒿)
효능: 간경변증, 간암, 간열, 간염, 간장암, 개선, 관절염, 급성간염, 두통, 만성간염, 명목소염, 발한, 비체, 소염, 아감, 안질, 위장병, 이뇨, 일체안병, 자한, 제습, 지방간, 창질, 청열, 청열이습, 췌장암, 타박상, 풍습, 피부소양증, 피부암, 학질, 해열, 황달, B형간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산딸기 복분자(覆盆子)
효능: 강장, 강장보호, 강정제, 목마름, 만성간염, 명목, 발기불능, 보간신, 빈뇨, 양모, 유정, 지사, 청량.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또는 환제로 복용한다.
산부추 해백(薤白)
효능: 강심제, 강장, 강장 보호, 건뇌, 건위, 곽란, 구충, 기부족, 소화 야뇨증, 양위, 온풍, 요슬산통, 유정증, 이뇨, 제습, 진정, 진통, 충독, 풍습, 해독, 흥분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즙을 내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산뽕나무 상엽(桑葉), 상지(桑枝), 상백피(桑白皮), 상심자(桑椹子)
효능: 각기, 감기, 강심제, 거풍습, 경풍, 고혈압, 곽란, 몽정, 발한, 부종, 사독, 소아감적, 소아경풍, 수종, 신경통, 오림, 이뇨, 중풍, 진정, 진해, 창종, 조충, 충독, 토혈각혈, 폐결핵, 폐기천식, 폐렴, 해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산사나무 산사자(山楂子)
효능: 간경변증, 감비, 강심제, 강장보호, 건위, 경혈, 고지방혈증, 고지혈증, 고혈압, 곽란, 동상, 소식화적, 소화불량, 요통, 월경이상, 유즙결핍, 장염, 장위카타르, 장출혈, 정혈, 주독, 진통, 활혈, 활혈산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산수유 산수유(山茱萸)
효능: 강정, 다뇨, 두통, 보익, 보익간신, 수감, 신경쇠약, 월경과다, 음왜, 이명, 조경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산오이풀 지유(地楡)
효능: 객혈, 견교독, 경혈, 누혈, 대하, 동상, 산후복통, 수감, 습진, 양혈지혈, 옹종, 월경과다, 지혈, 창종, 충독, 치루, 치질출혈, 치창, 치출혈, 치통, 치풍, 토혈, 토혈각혈, 하리, 해독, 혈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산자고 광자고(光慈姑)
효능: 강심제, 강장 보호, 광견병, 옹종, 요결석, 유방암, 전립선암, 종독, 진정, 진통, 통기, 폐결핵,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 매우 독성이 크지만, 독성의 발현이 느리다.
산조팝나무 마엽수구(麻葉繡球)
효능: 건위, 종독, 진통, 타박상, 통리수도,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기름 등에 개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산초나무 화초(花椒)
효능: 감기, 건 위, 구충, 구토, 말라리아, 명 안, 복통, 사독, 산전후통, 생선중독, 설사, 신장증, 위 내정 수, 이뇨, 일체 안 병, 제습, 중풍, 진통, 창종, 충치, 치통, 토역, 통경, 편도선염, 풍비, 풍습, 학질, 해수, 황달, 흉부냉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내다.
산토끼꽃 속단(續斷)
효능: 강근골, 골절, 골절증, 안태, 옹종, 완선, 요배통, 유정증, 자궁냉증, 진통, 치핵, 타박상, 태루, 하지근무력증,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살구나무 행인(杏仁)
효능: 각기. 결막염, 골수암, 광견병, 구내염, 기관지염, 난관난소염, 뇌암, 방광암, 요결석, 위경련, 인두염, 자궁근종, 전립선비대증, 종독, 중이염, 중풍, 진경, 진정, 척추질환, 충치, 치통, 편도선염, 폐결핵, 폐부종, 폐암, 피부윤택, 혈압조절, 호흡기질환, 환각치료, 후두암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삼 마자인(麻子仁)
효능: 강정제, 개선, 건망증, 건위, 고미, 광견병, 구토, 기억력감퇴, 난산, 당뇨, 대하증, 변비, 사태, 살충, 설사, 안태, 양모발약, 완화, 요통, 월경이상, 위장염, 유즙결핍, 윤장, 이뇨, 종독, 주부습진, 진정, 진통, 최면제, 타박상, 타복, 탈피기급, 통리수도, 통유, 해수, 활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기름으로 짜서 바른다.
삼백초 삼백초(三白草)
효능: 각기, 간염, 개선, 갱년기장애, 건위, 견비통, 고혈압, 골수염, 대하, 보습제, 선창, 소종해독, 수종, 아감, 암, 옹종, 요통, 유선염, 이뇨, 임질, 종독, 중이염, 중풍, 지방간, 청열이습, 충치, 치루, 치조농루, 치통, 치핵, 편도선비대. 폐농양, 피부윤택, 해열, 협심증, 황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이겨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삼지구엽초 음양곽(淫羊籗)
효능: 강장, 갱년기장애, 거풍제습, 건망증, 관절냉기, 근골위약, 발기불능, 보신장양, 생목, 야뇨증, 양위, 오로보호, 요슬산통, 우울증, 유정증, 음왜, 발기불능, 이뇨, 자궁내막염, 자양강장, 저혈압, 정력증진, 정양, 제습, 중풍, 창종, 치조농루, 탈모증, 통리수도, 풍, 풍비, 흉부냉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먹는다.
삽주 백출(白朮)
효능: 간경변증, 강장 보호, 거담, 건망증, 고혈압, 관절 냉기, 권태증, 기부족, 만성위염, 만성피로, 목소양증, 사태, 소아 소화불량, 소아토유, 소아 해열, 안심정지, 야맹증, 요통, 월경이상, 위장염, 음극사양, 음부질병, 이뇨, 인플루엔자, 정력증진, 조루증, 중풍, 통리수도, 허로, 현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삿갓나물 조휴(蚤休)
효능: 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 소아경기, 소종지통, 옹종, 위장병, 청열해독, 최토, 토혈 각혈, 편도선염, 평천지해, 폐기천식, 해독, 해수, 해열, 후두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뿌리거나 개어 붙인다.
상사화 녹총(鹿葱)
효능: 각혈, 객혈, 거담, 기관지염, 백일해, 적리, 적백리, 종독, 진통, 창종, 토혈, 폐결핵,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상산 취상산(臭常山)
효능: 감기, 거담, 관절염, 옹저, 종독, 진통, 치통, 통기, 풍, 학질,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상수리나무 상실(橡實)
효능: 감기, 강장보호, 구창, 구토, 나력, 사리, 악창, 암, 장위카타르, 종독, 주름살, 지혈, 탈항, 편도선염, 피부소양증, 해독, 화상
사용법: (내복): 생식하거나 삶아 먹는다.
상추 와거(萵苣)
효능: 건위, 경련, 고혈압, 요혈, 만성위염, 발한, 소변불리, 소아감적, 소아 경풍, 유즙 결핍, 유즙 불통, 이뇨, 종창, 진정, 최면제, 탈피기급, 통리수도, 피부 미백, 홍조 발진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새모래덩굴 편복갈근(蝙蝠葛根)
효능: 각기, 거풍청열, 기관지염, 나력, 요통, 위암, 위장염, 이기화습, 이뇨, 제습, 종독, 중풍, 진통, 타박상, 편도선염, 풍, 풍비,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새삼 토사자(菟絲子)
효능: 간염, 간질, 강장 보호, 골절, 목마름, 구창, 근골 위약, 기력증진, 기부족, 명목, 미용, 보양 익음, 사태, 식우육체, 식중독, 실뇨, 안태, 야뇨증, 양모발약, 양위, 여드름, 오줌소태, 요슬산통, 요통, 요혈, 월경이상, 위장염, 유정증, 발기불능, 익기, 자양강장, 조루증, 최음제, 치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서 닦아낸다.
새우난초 구절충(九節蟲)
효능: 음종, 림프절염, 종독, 치핵, 타박상, 편도선염, 해독,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이거나,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생강나무 황매목(黃梅木)
효능: 강근골, 강심제, 건위, 경혈, 산어소종, 유방동통, 조갈증, 중독증, 타박상, 통증, 학질, 한열왕래, 해열, 활혈서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석류나무 석류피(石榴皮)
효능: 곽란, 구금불언, 구내염, 구창, 부인하혈, 살충, 수감, 식제수육체, 십이지장충증, 완선, 월경과다, 월경이상, 유산, 유정증, 음수체, 인두염, 인후 통증, 자궁내막염, 장 출혈, 지사, 지혈, 촌충증, 치통, 탈항, 토혈 각혈, 편도선비대, 편도선염, 폐기천식, 피임, 화상, 후두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
석산 석산(石蒜)
효능: 객혈, 거담, 곽란, 구토, 기관지염, 백일해, 옹종, 이뇨, 인후통, 적리, 종독, 창종, 최토, 토혈, 폐결핵, 풍, 해독,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석위 석위(石葦)
효능: 기관지염, 보익, 신염, 옹저, 요결석, 이수통림, 임질, 자궁출혈, 종독, 지혈, 창상출혈, 토혈, 해수, 혈뇨, 화염지해, 흉격기창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석잠풀 광엽수소(光葉水蘇)
효능: 감기, 경풍, 기관지염, 맹장염, 복통, 소아 경풍, 월경이상, 자한, 정혈, 종독, 종염, 지혈, 진통, 청열, 청열이뇨, 태독, 토혈 각혈, 폐농양, 폐렴, 하혈, 해소, 해수, 해열, 혈뇨, 활혈, 후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부위에 바른다.
세뿔석위 석위(石葦)
효능: 만성기관지염, 보익, 신염, 이수통림, 임질, 자궁출혈, 지혈, 창상출혈, 토혈, 혈뇨, 화염지해, 흉격기창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소나무 송엽(松葉), 송화(松花)
효능: 간 기능회복, 강정제, 강직성척추관절염, 개선, 거풍조습, 고혈압, 골절통, 구내염, 근골동통, 근육통, 가슴막염, 당뇨병, 만성위염, 만성피로, 발모, 심장염, 야맹증, 양모발약, 연골증, 위경련, 정력증진, 중풍, 지혈, 진통, 척추질환, 치매증, 치통, 칠독, 폐결핵, 피부윤택, 해수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 또는 술을 담가 복용한다. ☞ 단독으로 많은 양을 복용하면 급성위장염이 발생할 수 있다.
소리쟁이 양제근(羊蹄根), 우이대황(牛耳大黃)
효능: 간염, 갑상샘염, 마른버짐, 경혈, 관절염, 구창, 근골동통, 난소종양, 만성위염, 백혈병, 부인하혈, 부종, 산후통, 소아 천연두, 어혈, 열질, 완선, 월경이상, 유선염, 음부질병, 장염, 적백리, 적취, 창독, 통리수도, 통변살충, 풍, 피부윤택, 해수, 해열, 호흡기질환, 화염지해, 황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이거나 즙을 내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소엽 자소엽(紫蘇葉), 자소자(紫蘇子)
효능: 강장보호, 갱년기장애, 거담, 건비위, 건위, 경신익지, 고혈압, 관절냉기, 기관지천식, 담, 몽정, 발한, 사태, 안태, 염증, 우울증, 유방염, 유선염, 윤폐, 이뇨, 자한, 정신분열증, 주독, 지혈, 진정, 진통, 질벽염, 칠독, 통기, 통리수도, 폭식증, 풍질, 풍한, 해독, 해수, 해열,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소철 봉미초엽(鳳尾蕉葉)
효능: 강장보호, 거담, 거풍, 난산, 담다해수, 대하, 목소양증, 보익, 수렴, 월경막힘, 위산과다증, 유정, 이기, 장위카타르, 종기, 진해, 토혈, 통경, 해수,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소태나무 고목(苦木)
효능: 개선, 거습, 건 위, 고미, 구충, 살충, 수감, 옹종, 위장염, 장위카타르, 조습, 종독, 폐결핵, 학질,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내다. ☞ 과량 사용 시 구토를 일으킨다.
속새 목적(木賊)
효능: 명목퇴예, 명안, 부인하혈, 산풍, 소산풍열, 옹종, 인후통, 인후통증, 자궁출혈, 장염, 장 출혈, 조경, 종기, 치질, 치핵, 탈항, 통리수도, 해열, 혈변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산포한다. ☞ 기혈이 허한 사람, 안질의 노기 등으로 붉어진 사람은 복용을 피한다.
솔나물 봉자채(蓬子菜)
효능: 간염, 감기, 독사교상, 월경이상, 인후통증, 종독, 지양, 청열해독, 타박상, 편도선염, 피부염, 해독, 해열, 행혈, 활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솜대 죽여(竹茹)
효능: 각혈, 간질, 객토혈, 경련, 구금불언, 구토, 금창, 발한, 소염, 유산, 익기, 자한, 정신분열증, 주독, 중풍, 지혈, 진정, 치통, 파상풍, 해수,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솜방망이 구설초(狗舌草)
효능: 감기, 거담, 구내염, 기관지염, 신우신염, 옹종, 이뇨, 인후 통증, 종독, 청열해독, 타박상, 통리수도, 해열, 활혈소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바르거나, 가루 내어 개어 붙인다.
송악 상춘등(常春籐)
효능: 간염, 거풍이습, 고혈압, 관절염, 급성간염, 요통, 일체 안 병, 제습, 종기, 지혈, 평간해독, 풍, 풍비,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쇠뜨기 문형(門荊)
효능: 각혈, 간염, 골절번통, 관절염, 근염, 당뇨, 명안, 변비, 이뇨, 이완출혈, 임병, 자궁출혈, 장 출혈, 지해, 치질, 치핵, 칠독, 탈항, 토혈각혈, 통리수도, 폐기천식, 하리, 해수, 현벽,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汁)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쇠무릎 우슬(牛膝)
효능: 간혈파행증, 강근골, 강장제, 강직성척추관절염, 견비통, 골다공증, 보익, 부인하혈, 사태, 소아경결, 소아야뇨증, 요결석, 신경통, 음부소양, 임신중요통, 자궁수축, 전립선비대증, 정력증진, 중추신경장애, 중풍, 치조농루, 편도선염, 피부궤양, 허리디스크, 혈뇨, 혈우병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고(膏)를 만들어 붙인다. ☞ 임산부에게는 낙태의 위험이 있다.
쇠별꽃 아장초(鵝腸草)
효능: 경혈, 외음부부종, 월경불순, 위장병, 유두파열, 유즙결핍, 이질, 자궁근종, 장위카타르, 정혈, 창종, 최유, 타박상, 폐렴, 피임, 해독, 해열, 활혈, 활혈소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쇠비름 마치현(馬齒莧)
효능: 각기, 관절염, 명목, 사독, 소아감적, 시력감퇴, 양혈, 열독증, 옹종, 요도염, 월경이상, 윤피부, 음양음창, 이뇨, 이완출혈, 이질, 림프절염, 저혈압, 부기, 지갈, 지혈, 청열해독, 치핵, 통리수도, 통림, 투진, 편도선염, 폐열, 풍열, 피부병, 해독, 해열, 혈뇨, 활혈, 흉부냉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갈즙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 내어 개어 붙이거나 수전(水煎)한 후 씻는다. ☞ 비위가 허해서 설사하는 자는 사용을 금한다.
수국 팔선화(八仙花)
효능: 강심제, 건위, 경련, 당뇨, 방광염, 번조, 신낭풍, 심열량계, 정혈, 진경, 학질, 한열왕래.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수박 서과(西瓜)
효능: 감기, 강장, 거담, 거위, 고혈압, 곽란, 구내염, 구창, 기관지염, 담, 딸국질, 방광염, 보혈, 소아식탐, 요독증, 위경련, 이뇨, 일사병,전립선비대증, 정력증진, 주독, 지갈, 청서해열, 청열해독, 통리수도, 편도선염, 폐결핵, 해수, 혈뇨
사용법: (내복): 즙을 내어 복용한다.
수선화 수선근(水仙根)
효능: 거담, 견비통, 경혈, 구토, 배농, 백일해, 소종, 옹종, 일체안병, 종기, 종독, 천식, 충치, 타박상, 토혈 각혈, 폐기천식, 폐렴, 풍, 활혈
사용법: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즙을 내어 바른다.
수세미오이 사과(絲瓜)
효능: 각기, 간작반, 거담, 건비, 건위, 고환염, 동상, 부인하혈, 부종, 소아천식, 열병, 오심, 옹종, 외치, 요통, 월경이상, 윤피부, 이뇨, 이수, 이완출혈, 일사상, 임파선염, 자궁출혈, 장염, 적백리, 지음증, 치통, 치핵, 태독, 해독화염, 해수, 해열, 혈허복병, 호흡기질환, 활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연미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즙을 내어 상처부위에 바르거나 가루 내어 개어 붙인다. ☞ 비위가 허약한 자는 복용을 금한다.
수염가래꽃 반변련(半邊蓮)
효능: 간경변증, 간염, 간장암, 개선, 관장, 급성간염, 백일해, 습진, 신장암, 옹종, 위암, 이뇨소종, 전립선염, 종독, 지혈, 직장암, 천식, 청열해독, 충독, 호흡곤란, 폐기천식, 해독, 황달, 흥분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즙을 내어 바른다.
순비기나무 만형자(蔓荊子)
효능: 각기, 감기, 거담, 거풍, 관절염, 대하, 소산풍열, 소염, 신경통, 월경이상, 이뇨, 이명, 일체안병, 임질, 제습, 조경, 조루증, 졸도, 진정, 진통, 청리두목, 타박상, 통리수도, 풍, 해수, 해열, 현기증, 어지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 혈허로화가 있고 두통, 현기증이 자주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술패랭이꽃 구맥(瞿麥)
효능: 고뇨, 구충, 난산, 가슴막염, 무월경, 석림, 소염, 수종, 안질, 옹종, 이뇨 이수통림, 인후염, 일체안병, 임질, 자상, 자침, 치질, 치핵, 타박상, 통경, 해독, 해열, 활혈통경, 회충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개어 붙인다.
쉽싸리 택란(澤蘭)
효능: 각혈, 두풍, 부종, 생기, 양위, 월경이상, 요통, 이뇨, 익정, 종기, 종독, 타박상, 토혈, 토혈 각혈, 통경, 피부염, 해산촉진, 해열, 활혈, 흉부냉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에 김을 쐬고 닦아낸다.
승마 승마(升麻)
효능: 외감성 발열, 두통, 홍역 초기 발진, 열독으로 인한 두통, 인후염, 잇몸병, 혓병, 피부병, 신체허약으로 인한 권태, 오랜 설사, 탈항, 자구하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 또는 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붙이거나 달인 물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시호 시호(柴胡)
효능: 강장 보호, 거담, 경련, 고혈압, 골수암, 골절번통, 구안와사, 난청, 늑막염, 말라리아, 소간 해울, 암내, 오한, 월경불순, 자궁하수, 제암, 중풍, 진경, 진통, 치통, 탈항, 하리탈항, 학질, 해독, 해소, 해열, 화해퇴열, 황달, 흉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신갈나무 작수피(柞樹皮)
효능: 강장, 수감, 이습, 주름, 청혈해독, 치핵, 하혈, 해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내거나 짓찧어 붙인다.
쑥 애엽(艾葉)
효능: 강정제, 견비통, 고혈압, 관절염, 기관지염, 만성 요통, 만성위염, 만성피로, 목소양증, 산후 하혈, 소아 청변, 소아 피부병, 외이도절, 음부질병, 이명, 인두염, 자궁냉증, 제습지양, 주부습진, 중풍, 창종, 청명, 치핵, 토혈 각혈, 통경, 편두통, 폐기천식, 피부 윤택, 황달, 후두염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이거나 고(膏)를 만들어 붙인다.
쓴풀 당약(當藥)
효능: 감기, 강심, 개선, 건위, 결막염, 경풍, 골수염, 과식, 관절염, 구충, 발모, 소아경풍, 소화불량, 습진, 윤피부, 청열, 태독, 폐기천식, 하리, 해독, 어지럼 구토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상처부위에 바른다.
씀바귀 황과채(黃瓜菜)
효능: 간 경화, 강장 보호, 강정 안정, 건위, 고미, 골절, 골절증, 구고, 구내염, 구창, 만성간염, 만성기관지염, 비체, 식욕부진, 안오장, 열병, 오심, 이질, 장위카타르, 종창, 진정, 진통, 청열양혈, 최면제, 축농증, 타박상, 탈피기급, 폐열,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아욱 동규자(冬葵子)
효능: 강화, 구토, 난산, 변비, 소갈, 소아토유, 식해어체, 오림, 완화, 유선염, 유즙 결핍, 음수체, 이뇨, 이수통림, 이질, 임질, 주황병, 청열해독, 최유, 통리수도, 폐렴, 피부윤택, 해산촉진, 해수,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앉은부채 취숭(臭菘)
효능: 강심, 거담, 경련, 구토, 실면증, 위장염, 유두파열, 이뇨, 자한, 종창, 진경, 진정, 파상풍,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복용한다. ☞ 유독하므로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애기땅빈대 지금초(地錦草)
효능: 설사, 옹종, 유즙 결핍, 장염, 정창, 지혈, 청 습열, 타박상, 토혈 각혈, 통유, 해독, 혈림, 활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분말로 하여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애기똥풀 백굴채(白屈菜)
효능: 간경변증, 간 기능회복, 간반, 간염, 강장보호, 개선, 마른버짐, 경련, 기관지염, 독사교상, 완선, 월경불순, 월경통, 위궤양, 위암, 위장염, 이뇨해독, 자색반병, 종독, 부기, 진경, 진정, 진통, 진해, 칠독, 통리수도, 해독, 해수,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즙을 내어 상처 부위에 사용한다.
앵도나무 욱리인(郁李仁)
효능: 과식, 비만, 사교독, 삼충, 유정증, 익비, 통경, 통리수도, 환각치료,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약모밀 어성초(魚腥草)
효능: 간염, 강심제, 개선, 거담, 고혈압, 관절염, 기관지염, 동맥경화, 매독, 방광염, 수종, 식도암, 완화, 요도염, 윤피부, 이뇨통림, 임질, 자궁내막염, 중이염, 중풍, 청열해독, 축농증, 치루, 치질, 치창, 탈항, 통리수도, 폐농양, 폐렴, 피부염, 하리, 해독, 해열, 화농, 흉부냉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이겨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서 상처 부위에 쐬고 닦아낸다.
양귀비 앵속각(罌粟殼)
효능: 거품대변, 경련, 구토, 뇌염, 다발성경화증, 마비, 무도병, 소아청변, 열질, 위장병, 장염, 장위카타르, 적백리, 진경, 진통, 진해, 최면, 최토, 피하주사, 하리, 해독, 해수, 혈리, 호흡곤란, 호흡진정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또는 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상처 부위에 바른다. ☞ 5세 미만의 어린이는 morphine에 대해 민감하므로 절대 금기이다.
어저귀 백마실(白麻實)
효능: 감기, 난산, 난청, 옹종, 임파선염, 장염, 장위카타르, 졸도, 종독, 통리수도, 하리, 현훈, 화상,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얼레지 차전엽산자고(車前葉山慈菇)
효능: 강장 보호, 건뇌, 건위, 경혈, 구토, 연골증, 완화, 위장염, 장염, 장위카타르, 지사, 진토, 진통, 창종, 하리, 화상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엉겅퀴 대계(大薊)
효능: 각기, 각혈, 간헐파행증,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근계, 근골동통, 난청, 대하증, 부종, 소아경결, 신경통, 안태, 양혈거풍, 옹종, 유방암, 음창, 이완출혈, 임신 중 요통, 자궁출혈, 정력증진, 중추신경장애, 토혈, 통리수도, 피부궤양, 피부염, 혈기 심통, 혈담, 혈압조절, 혈우병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 또는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여뀌 수료(水蓼)
효능: 각기, 감기, 강심제, 개선, 고혈압, 만성피로, 부종, 월경이상, 이뇨, 장염, 장위카타르, 제충제, 종독, 중풍, 지구역, 지혈, 창종, 치통, 타박상, 통경, 포징, 풍, 해열, 현벽, 혈뇨,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汁)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 작용이 강하여 낙태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여주 고과(苦瓜)
효능: 거담, 경신 익지, 맹장염, 명목, 열병, 옹종, 위경련, 위한증, 이질, 일체안병, 종독, 청서 조열, 치핵, 해독, 해열, 혈기 심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연꽃 우절(藕節)
효능: 각혈, 강심제 건망증, 고혈압, 구내염, 기관지염, 민감체질, 변비, 보익, 부인하혈, 식시비체, 신경쇠약, 신장염, 야뇨증, 어혈, 위장염, 임질, 장 출혈, 정력증진, 조루증, 주독, 지혈, 치통, 탈항, 편도선염, 폐결핵, 피부노화방지, 학질, 해독, 허약체질, 혈뇨, 협심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변비가 있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
연영초 연령초(延齡草)
효능: 거풍, 고혈압, 두통, 서간, 외상출혈, 요통, 위장장애, 최토, 타박상, 활혈지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뿌려준다.
연잎꿩의다리 마미련(馬尾連)
효능: 감기, 거습, 결막염, 옹종, 장염, 조습, 청열, B형간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예덕나무 야오동(野梧桐)
효능: 거위, 거풍, 골통, 관절염, 살균, 성홍열, 양 혈 근력, 위궤양, 장위카타르, 제습, 종기, 종독, 좌골신경통, 진통, 충독, 치통, 태풍, 통경, 풍, 풍습, 항문염, 해독, 해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오가나무 오가피(五加皮)
효능: 각기, 강근 골, 강심, 강장, 강정, 거어, 거풍습, 관절염, 단독, 만성 맹장염, 사독, 소수 종, 요슬통, 음위, 익기, 중풍, 진경, 진정, 진통, 타박상, 풍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혹은 술에 담가 복용한다.
오갈피나무 오가피(五加皮)
효능: 각기, 강근 골, 강심제, 강장 보호, 강정제, 거어, 거풍습, 건망증, 경혈, 골증열, 관절염, 구안와사, 근골 구급, 근골동통, 단독, 만성 맹장염, 만성피로, 사독, 양위, 요슬통, 요통, 위암, 유정증, 음위, 익기, 제습, 조루증, 중풍, 진경, 진정, 진통, 타박상, 풍, 풍습, 해수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혹은 술에 담가 복용한다.
오동나무 동피(桐皮)
효능: 각기, 감비, 경혈, 고혈압, 구충, 두풍, 식군대채체, 식마령서체, 오림, 오한, 음낭습, 음창, 음축, 임질, 장위카타르, 종기, 종독, 종창, 지혈,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 낸다.
오미자 오미자(五味子)
효능: 간염, 강근골, 강정제, 경신익지, 목마름, 권태증, 급성간염, 기관지염, 만성피로, 소아천식, 수감, 양위, 열질, 월경이상, 유정증, 윤피부, 음경, 음극사양, 이명, 자양, 조루증, 주독, 축농증, 탈모증, 폐기천식, 폐렴, 풍, 해소, 해수, 허로, 혈압, 흉부냉증, 흉부담, 흥분제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하거나, 주침하여 복용한다.
오이 황과(黃瓜), 황등과(黃瓜藤)
효능: 간작반, 고혈압, 골절, 골절통, 목마름, 구토, 기관지염, 사태, 식해 삼체, 여드름, 연골증, 외상, 요부염좌, 윤피부, 이뇨, 이수, 임질, 제열, 조갈증, 종독, 주독, 축농증, 태독, 폐기천식, 피부 미백, 피부 윤택, 해독, 해수, 어지럼, 화상, 황달, 흉부 답답, 흉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오이풀 지유(地楡)
효능: 각혈, 객혈, 견교독, 골절, 누혈, 대하, 동상, 산후복통, 수감, 습진, 양혈거풍, 양혈지혈, 열질, 오줌소태, 옹저, 완선, 월경과다, 위궤양, 음부소양, 장염, 장출혈, 적백리, 종기, 종독, 지혈, 진통, 치핵, 타박상, 토혈, 토혈각혈, 피부궤양, 하리, 해독, 혈담, 혈우병, 화상, 활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분말로 또는 짓찧어 상처 부위에 사용한다.
옥매 욱리인(郁李仁)
효능: 각기, 만성변비, 완화, 윤장, 윤조활장, 이뇨, 전신부종, 하기행수, 하지근무력증,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옥수수 옥미수(玉米鬚)
효능: 각기, 간염, 거어, 고혈압, 담석증, 당뇨병, 방광암, 부종, 사림, 신장염 부종, 야뇨증, 요결석, 요도염, 원형탈모증, 유정증, 유즙 결핍, 이뇨, 이수소종, 장위카타르, 전립선비대증, 종독, 타박상, 토혈, 통경, 통리수도, 통경, 통림, 폐기천식, 혈뇨, 협심증, 협통, 황달, 황달 간염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준다.
옥잠화 옥잠(玉簪)
효능: 소변불통, 옹저, 유옹, 윤폐, 인후 통증, 림프절염, 지혈, 창독, 토혈 각혈, 통리수도, 해독, 화상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옻나무 건칠(乾漆)
효능: 강장 보호, 건 위, 견비통, 과실중독, 관절염, 구충, 근골동통, 당뇨, 방부, 생담, 소염, 안오장, 어깨결림, 어혈, 염증, 오십견, 요통, 위장염, 자궁근종, 전립선암, 정혈, 주독, 지혈, 직장암, 진해, 탄산 토산, 통경, 통리수도, 풍한, 피부암, 학질, 해독,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환제나 산제로 복용한다. ☞ 민감한 사람은 소량에도 칠성피부염을 일으킨다.
왕고들빼기 산와거(山萵苣)
효능: 건위, 경혈, 발한, 소종, 옹종, 이뇨, 자한, 종독, 종창, 진정, 최면제, 편도선염,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왕대 계죽엽(桂竹葉)
효능: 각혈, 객혈, 거담, 경련, 구갈, 구토, 금창, 기부족, 발한, 사태, 소아 경풍, 소염, 심량, 유산, 이규, 익기, 자한, 조갈증, 주독, 중풍, 진통, 청열, 파상풍, 화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왕원추리 훤초근(萱草根)
효능: 간질, 강장, 강장 보호, 번열, 소영, 안오장, 양혈, 월경이상, 위장염, 유선염, 유옹, 유즙 결핍, 유창통, 이뇨, 자궁외임신, 자양강장, 지혈, 총이명목약, 토혈 각혈, 치림, 통리수도, 해독, 혈변,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왜당귀 당귀(當歸)
효능: 간질, 감기, 강장 보호, 거풍, 건비, 건 위, 기부족, 변비, 보혈, 부인병, 신허, 오줌소태, 요슬산통, 월경이상, 정혈, 조경, 진정, 진통, 치통, 통경, 해수, 허리디스크, 허약체질, 화혈,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용담 용담(龍膽)
효능: 각기, 간염, 간질, 강장보호, 강화, 개선, 건위, 경련, 경풍, 과민성대장증후군, 관절염, 도한, 만성위염, 백혈병, 설사, 소아감적, 소아경풍, 습진, 심장염, 연주창, 오한, 요도염, 위산과다증, 유방암, 음낭습, 일체안병, 장위카타르, 종기, 창종, 통리수도, 피부암, 해열, 황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 비위가 약한 사람이 설사할 때는 복용을 금한다.
우산나물 토아산(兎兒傘)
효능: 거풍제습, 관절동통, 관절염, 관절통, 대하증, 소종지통, 옹저, 옹종, 제습, 종독, 종창, 진통, 타박상, 풍, 해독활혈,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우엉 우방자(牛傍子)
효능: 각기, 간장암, 강장보호, 개선, 거담, 경선결핵, 관절염, 구열, 담, 대장암, 식도암, 연주창, 열광, 옹종, 외이도염, 월경이상, 위경련, 유방암, 음낭습, 음양음창, 이뇨, 인후염, 인후통증, 종기, 중풍, 충치, 통리수도, 편도선염, 폐암, 풍비, 피부소양증, 해수, 해열, 홍역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서 상처부위에 김을 쐬고 닦아 낸다.
울릉산마늘 각총(茖葱), 격총(格)
효능: 강심, 강장, 강장 보호, 건위, 곽란, 구충, 소화불량, 심복통, 옹종, 자양, 제습, 진정, 진통, 창독, 포징, 풍, 해독,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위령선 철선련(鐵線蓮)
효능: 각기, 간염, 개선, 골절, 관절염, 근육통, 급성간염, 각기, 발한, 복중괴, 악종, 요슬통, 이뇨, 자한, 절상, 제습, 종독, 진통, 천식, 통풍, 파상풍, 편도선염, 폐기천식, 풍질, 하리, 해독,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위성류 정류(檉柳)
효능: 감기, 고혈압, 기관지염, 발한투진, 사지 마비 동통, 제습, 종독, 통리수도, 피부염, 해독,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유채 운대자(蕓籉子)
효능: 단독, 산혈, 소종, 악창, 어혈복통, 옹종, 유방염, 이질, 종기, 종독, 치루, 치창, 통기, 편두통, 풍,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연미로 하거나 기름을 짜서 상처 부위에 사용한다.
윤판나물 석죽근(石竹根)
효능: 강장 보호, 건비소종, 건비위, 나창, 냉습, 대장출혈, 명안, 윤폐지해, 자양강장, 장염, 장위카타르, 장염, 장 출혈, 적취, 치질, 치핵, 폐결핵, 폐기종, 폐혈, 해수, 흉부냉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율무 의이인(薏苡仁)
효능: 각기, 간경변증, 간염, 간작반, 강장 보호, 거담, 건비위, 견비통, 경련, 고혈압, 관절염, 급성간염, 기관지염, 목소양증, 부종, 비육, 사마귀, 설사, 식도암, 식중독, 야뇨증, 위암, 이습건비, 진경, 진통, 축농증, 치통, 토혈 각혈, 폐결핵, 피부노화방지, 피부 윤택, 허약체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으름덩굴 목통(木通)
효능: 강심제, 개선, 관상동맥질환, 관절염, 구금불언, 구충, 금창, 배농, 부종, 소염, 오심, 월경이상, 유즙결핍, 음낭종독, 음양음창, 이뇨, 이명, 익정위, 인후, 인후통증, 임질, 장위카타르, 정력증진, 종독, 진통, 진해, 창달, 타태, 통경, 통리수도, 통풍, 통혈기, 해수, 해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비위가 허약한 자는 복용을 금한다.
으아리 위령선(威靈仙)
효능: 각기, 간염, 간질, 거풍습, 골절, 관절염, 관절통, 근육통, 발한, 복중괴, 악종, 안면신경마비, 언어장애, 요슬통, 요통, 절상, 제습, 진통, 천식, 통경, 통풍, 파상풍, 편도선염, 폐기천식, 풍, 풍질, 하리, 한열왕래, 항바이러스,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은방울꽃 영란(鈴蘭)
효능: 강심, 강심제, 노상, 단독, 부종, 심장쇠약, 온양이수, 이뇨, 타박상, 통리수도, 활혈, 활혈거풍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은행나무 백과(白果)
효능: 감기, 강장보호, 거담, 경련,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만성피로, 목소양증, 소아야뇨증, 식두부체, 염폐평천, 요도염, 위산과다증, 유즙결핍, 자율신경실조증, 장염, 종기, 주독, 중풍, 지사, 진경, 진해, 축농증, 치매증, 파킨슨병, 폐기천식, 협심증, 호흡곤란, 흉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 환제 또는 그대로 복용한다. ☞ 대량복용은 구토와 호흡곤란 증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음나무 해동피(海棟皮)
효능: 강장 보호, 강직성 척추관절염, 거담, 거풍습, 견비통, 관절염, 구충, 근육통, 만성 요통, 살충, 습진, 옴, 요부염좌, 요통, 위암, 위장염, 임신중요통, 장위카타르, 제습, 좌골신경통, 좌섬요통, 중추신경장애, 진통, 척추관협착증, 척추질환, 통리수도, 풍치, 해수, 현벽, 활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이스라지 욱리인(郁李仁)
효능: 각기, 변비, 부종, 완화, 윤조활장, 이뇨, 이수, 진통, 치통, 하기,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임산부는 주위 하여 사용한다.
이질풀 노관초(老鸛草)
효능: 각기, 감기, 강장 보호, 갱년기장애, 거풍제습, 거위, 과민성대장증후군, 과식, 구창, 금창, 대하증, 방광염, 백적리, 변비, 산전후통, 소아 변비증, 식중독, 역리, 열광, 월경불순, 위궤양, 위산과다증, 위장염, 위하수, 자궁내막염, 장염, 지사, 지혈, 폐결핵, 풍, 피부병, 하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익모초 익모초(益母草), 충위자( 蔚子)
효능: 갑상선염, 강장 보호, 건위, 결핵, 관절 냉기, 냉 복통, 단독, 대하증, 만성 맹장염, 부인 하혈, 소아복냉증, 암내, 야맹증, 양궐사음, 완선, 외이도절, 위무력증, 위장염, 유방염, 이완출혈, 일사병, 임신중독증, 자궁암, 정혈, 조갈증, 창종, 청열해독, 어지럼, 혈뇨, 혈압조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산제로 또는 즙을 내어 복용한다.
인동덩굴 인동등(忍冬藤), 금은화(金銀花)
효능: 간염, 건위, 결막염, 관절통, 늑막염, 만성요통, 소염배농, 아감, 연주창, 열광, 요독증, 요통, 위궤양, 위암, 윤피부, 음부소양, 음양음창, 이뇨, 이하선염, 임질, 자궁경부암, 장염, 정혈, 지방간, 진통, 치조농루, 타박상, 통경, 통리수도, 통풍, 편도선염, 항바이러스, 혈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달이거나 고약을 만들어 상처부위에 바르거나, 가루를 내어 개어 붙인다.
인삼 인삼(人蔘)
효능: 강장 보호, 갱년기장애, 건망증, 권태증, 기억력감퇴, 만성피로, 소아 허약체질, 식도암, 야뇨증, 양위, 오심, 위궤양, 유방암, 자궁암, 정력증진, 정신분열증, 조루증, 지구역, 청력보강, 탈모증, 파상풍, 편도선염, 폐기천식, 피부 윤택, 허약체질, 호흡곤란, 흉부냉증, 흥분제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잇꽃 홍화(紅花), 홍화자(紅花子)
효능: 간경변증, 결절종, 경혈, 골절상, 구토, 난산, 부인병, 안산, 어혈, 월경이상, 위장염, 이급, 자궁수축, 지통, 지혈, 진정, 진통, 척추질환, 타박상, 통경, 편도선염, 폐결핵, 해산촉진, 혈압조절, 협심증, 홍역, 활혈, 활혈거어, 흉부냉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자귀나무 합환피(合歡皮)
효능: 강장보호, 건망증, 골절, 골절증, 관절염, 구충, 가슴막염, 살충, 안신해울, 안오장, 옹종, 요슬산통, 이기개위, 이뇨, 인후통증, 림프절염, 종기, 진정, 진통, 창종, 충독, 타박상, 폐결핵, 해수, 활혈소종, 흥분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늘개 갈아서 개어 붙인다.
자귀풀 합맹(合萌)
효능: 간염, 감기, 거풍, 급성간염, 복부팽만, 소종, 습진, 옹종, 위염, 이습, 이질, 장위카타르, 종독, 청열, 해독,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 낸다.
자두나무 이근(李根)
효능: 각기, 간작반, 강화, 건위, 구내염, 만성피로, 소아경풍, 정혈, 종독, 종통, 주체, 중풍, 충치, 치통, 통경, 편도선염, 폐렴, 풍치, 피부소양증, 해독,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자리공 상륙(商陸)
효능: 각기, 다망증, 소종산결, 수종, 신장염, 옹종, 이뇨, 이뇨투수, 인후통증, 전립선비대증, 포징, 표저, 하리, 항문주위농양,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자목련 신이(辛夷)
효능: 거풍, 구충, 두통, 소아두창, 양모발약, 제습, 조비후증, 축농증, 치통, 통규, 화분병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코 안에 뿌린다.
자작나무 백화피(白樺皮)
효능: 간염, 강장, 구충, 기관지염, 아감, 자양강장, 종독, 통풍, 편도선염, 폐농양, 폐렴, 폐부종, 피부염, 하리, 해독, 해수,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단술을 만들어 복용한다.
작약 적작약(赤芍藥)
효능: 감기, 객혈, 금창, 대하, 두통, 복통, 부인병, 유방동통, 이뇨, 이완출혈, 지혈, 진경, 진통, 창종, 하리, 해열, 혈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잣나무 해송자(海松子)
효능: 간질, 감기, 강장보호, 건비, 고혈압, 골절번통, 관절염, 기관지염, 당뇨병, 두현, 변비, 식풍, 신허, 양음, 오로보호, 윤장, 윤폐, 이명, 임신중독증, 자양강장, 정력증진, 조해, 종독, 종창, 중풍, 진통, 청명, 토혈, 폐결핵, 폐기천식, 풍비, 해수, 허약체질, 화상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 또는 환제로 복용한다. ☞ 대변이 묽을 때는 사용을 삼간다.
장구채 왕불류행(王不留行)
효능: 건비위, 경혈, 금창, 난산, 무월경, 연주창, 옹종, 요도염, 월경이상, 유옹, 유즙결핍, 이질, 인후통증, 정혈, 제습, 조루증, 종독, 중이염, 지혈, 진통, 최유, 치열, 통경, 통리수도, 중풍, 풍습, 하리, 해열, 혈림, 홍안, 활혈, 활혈통경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 내어 복용한다.
전동싸리 벽한초(辟汗草)
효능: 기관지염, 살충, 신장염, 안질, 이뇨, 이질, 일사병, 열사병, 일체안병, 임질, 림프절염, 청열,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절굿대 누로(漏蘆)
효능: 각혈, 간경변증, 간염, 간장암, 고혈압, 근골동통, 기관지염, 발모, 배농, 보혈, 생기, 소통하유, 수감, 양모발약, 염증, 유선염, 유옹, 유즙 결핍, 인후염, 임질, 제습, 조경, 종독, 지방간, 지혈, 진해, 창종, 청열해독, 치핵, 토혈, 토혈 각혈, 통유, 폐렴, 해독, 해열, 황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물로 달여 닦아낸다.
접시꽃 촉규근(蜀葵根)
효능: 각혈, 간염, 개선, 관절염, 금창, 백대하, 완화, 요혈, 이뇨 배농, 종독, 청열, 양혈, 토혈, 토혈 각혈, 통경, 통리수도, 풍, 해열, 홍안, 화상,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조개나물 다화근골초(多花筋骨草)
효능: 간염, 감기, 개선, 고혈압, 근골동통, 기관지염, 나력, 두창, 매독, 연주창, 옹종, 이뇨, 이질, 임파선염, 진정, 청열해독, 치창, 치핵, 통리수도, 편도선염, 폐기천식, 활혈소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조릿대 담죽엽(淡竹葉)
효능: 경풍, 구갈, 구내염, 구역질, 구토, 발한, 보약, 소아 경풍, 소아번열증, 실음, 악창, 자한, 정신분열증, 주독, 중풍, 지구역, 진정, 진통, 진해, 청열, 토혈, 토혈 각혈, 파상풍,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조뱅이 소계(小薊)
효능: 간염, 감기, 강장, 경혈, 고혈압, 금창, 급성간염, 대하증, 부종, 신우신염, 안태, 양혈지혈, 옹종, 음창, 이뇨, 지혈, 창종, 출혈, 토혈, 토혈 각혈, 해독소옹, 해열, 혈뇨,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서 닦아낸다.
족도리풀 세신(細辛)
효능: 감기, 거풍, 골습, 관절염, 두통, 류머티즘, 산한, 온폐, 이뇨, 진정, 진통, 진해, 축농증, 치통, 해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코안에 뿌린다.
졸방제비꽃 주변강(走邊彊)
효능: 간 기능촉진, 감기, 거풍, 기침, 발육부진, 부인병, 정혈, 종독, 진해, 최토, 태독, 통경, 해독,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좀목형 모형자(牡荊子)
효능: 각기, 감기, 거풍, 거풍화담, 대하, 소염, 신경통, 유방염, 이뇨, 임질, 제습, 제습 살충, 조경, 진통, 폐기천식, 풍, 해수, 해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 또는 술에 우리어 복용한다.
주엽나무 조협(皂莢)
효능: 거담, 곽란, 관절염, 낙태, 난산, 두통, 산결소종, 옴, 옹종, 윤조통변, 이뇨, 부기, 중풍, 피부소양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이거나 달인 물로 상처 부위에 바른다.
쥐똥나무 수랍과(水蠟果)
효능: 각기, 강장, 강장보호, 대변출혈, 지한, 지혈, 진정, 토혈, 토혈각혈, 풍혈, 한열왕래, 허약체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쥐방울덩굴 마두령(馬兜鈴)
효능: 각혈, 고혈압, 기관지염, 소아천식, 옹종, 제습, 종독, 지통, 치핵, 폐기천식, 폐혈, 해독소종, 해수, 행기, 화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 임산부의 복용을 금한다.
쥐오줌풀 힐초근(纈草根)
효능: 간질, 경련, 고혈압, 신경과민, 심신불안, 요통, 월경부조, 월경이상, 위약, 정신분열증, 진경, 진정, 진통, 타박상, 탈항, 히스테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지모 지모(知母)
효능: 간 기능 회복, 강화 갱년기장애, 거담, 야뇨증, 진통, 통리수도, 해수, 해열, 호흡곤란,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 비위가 허한하여 붉은 대변을 보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지치 자초(紫草)
효능: 간열, 간염, 강심제, 강장, 강장 보호, 개선, 건위, 결막염, 습진, 양혈, 오로 보호, 오풍, 이뇨, 임질, 조현병, 제창해독, 종독, 진통, 추간판탈출증, 충독, 치핵, 토혈 각혈, 통리수도, 표저, 피부병, 피임, 하리, 해독, 해열, 혈뇨, 홍역, 화농, 화상, 활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고를 만들어 상처부위에 바른다.
지칭개 니호채(泥胡菜)
효능: 감염, 강심, 건위, 골절상, 급성간염, 보익, 보폐, 소종거어, 악창, 옹종, 외상출혈, 이뇨, 종기, 종독, 지혈, 진정, 청열해독, 치루, 해수,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진달래 백화영산홍(白花映山紅)
효능: 각혈, 강장, 강장 보호, 건 위, 고혈압, 월경이상, 이뇨, 이질, 조루증, 청폐지해, 치출혈, 토혈, 토혈 각혈, 통경, 폐기천식, 하리, 해독, 해수,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질경이 차전자(車前子)
효능: 간염, 강심제, 경혈, 고혈압, 관절염, 금창, 기관지염, 방광염, 부인 하혈, 소아 해열, 심장염, 양위, 위궤양, 유방암, 음낭습, 인두염, 임질, 자궁내막염, 전립선비대증, 정력증진, 조루증, 지사, 진해, 척추질환, 청간 명목, 치조농루, 토혈 각혈, 폐결핵, 피부소양증, 피부 윤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거나 물로 달여 상처부위에 뿌리거나 개어 붙인다.
짚신나물 선학초(仙鶴草)
효능: 간장암, 강장보호, 개선, 거담, 건위, 경선결핵, 관절염, 구충, 뇌암, 누혈, 대장암, 대하, 방광암, 백혈병, 부인하혈, 비암, 살충, 식도암, 신장염, 옹종, 위궤양, 위암, 자궁암, 자궁탈수, 장염, 장위카타르, 적백리, 전립선암, 지혈, 직장암, 치핵, 토혈각혈, 폐암, 하리, 해독, 후두암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또는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쪽 대청엽(大靑葉)
효능: 간열, 감기, 강장보호, 경혈, 구내염, 기관지염, 옹종, 장위카타르, 종독, 지혈, 충독, 토혈각혈, 폐렴, 해독, 해열, 황달, 후두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찔레꽃 영실(營實)
효능: 각기, 강장, 개선, 결절종, 관절염, 교취, 복통, 야뇨, 옹종, 요통, 월경이상, 음왜, 발기불능, 이수제열, 자상, 제습, 조갈증, 조루증, 창종, 치통, 통경, 통리수도, 풍, 풍습, 하리, 해독, 활혈, 활혈해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 낸다.
차나무 다엽(茶葉)
효능: 간염, 감비, 강심, 강심제, 결막염, 고혈압, 구내염, 권태증, 급성간염, 기관지염, 만성피로, 부종, 소식, 수종, 암내, 양혈, 위장염, 이뇨, 일체 안 병, 제번열, 지방간, 천식, 치핵, 폐기천식, 피부 청결, 해독, 해수, 현훈, 화담, 흉협통, 흥분제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복용한다.
차풀 산편두(山扁豆)
효능: 각기, 건비위, 건위, 산어화적, 수종, 야맹증, 이뇨, 일체안병, 지사, 청간이습, 통리수도,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분말로 복용한다.
참깨 흑지마(黑芝麻)
효능: 강장 보호, 건망증, 견골, 고혈압, 관절염, 당뇨병, 동맥경화증, 목소양증, 보익정활, 부인 하혈, 사리 산통, 소아 변비증, 안정피로, 외이도염, 원형탈모증, 위궤양, 위암, 유즙 결핍, 자양강장, 저혈압, 정력증진, 종창, 중이염, 진통, 편도선염, 폐결핵, 피부 윤택, 하리, 허약체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기름을 짜거나 짓찧어 상처부위에 바르거나 붙인다.
참나리 백합(百合)
효능: 각혈, 강장 보호, 갱년기장애, 건위, 기관지염, 비체, 소아 경풍, 안정피로, 양궐사음, 오심, 유옹, 인후 통증, 자양, 자양강장, 자폐증, 정신분열증, 종독, 진해, 청력보강, 청심안신, 편도선비대, 폐결핵, 폐기천식, 폐혈, 표저, 한열왕래, 해독, 해수, 해열, 허로, 허약체질, 혈담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죽을 쑤어 복용한다.
참당귀 당귀(當歸)
효능: 간질, 강장, 강장 보호, 거풍화혈, 경련, 경통, 경혈, 관절통, 구어혈, 구역질, 기부족, 부인하혈, 빈혈, 수태, 신염, 암내, 월경이상, 위암, 이뇨, 익기, 익정, 정기, 정혈, 진경, 진정, 진통, 치질, 치통, 타박상, 탄산 토산, 해열, 허약체질, 현훈,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참빗살나무 사면목(絲綿木)
효능: 거풍습, 경혈, 관절염, 구충, 뇌암, 암, 요독증, 요 슬 산통, 요통, 월경이상, 유즙 결핍, 자궁출혈, 제습, 진통, 췌장암, 통경, 허리디스크, 혈전증, 활 혈맥, 후두암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참외 과체(瓜蒂)
효능: 골수염, 구토, 부종, 소결산어, 식면체, 월경과다, 윤장, 중독증, 청서열, 청폐화염, 최토, 축농증, 충독,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코에 삽입한다.
참죽나무 춘백피(椿白皮)
효능: 개선, 거습, 살충, 소아감적, 수감, 수렴, 악창, 옴, 자궁출혈, 적대하, 제열조습, 제충제, 조습, 지사, 지혈, 하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내다.
참취 동풍채근(東風采根)
효능: 골다공증, 골절번통, 두통, 방광염, 보익, 사상, 요통, 이뇨, 인후 통증, 장염, 장위카타르, 진통, 타박상, 통기, 통리수도, 해수, 현기증,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창포 백창(白菖)
효능: 가성근시, 각기, 감창, 개선, 개창, 거담, 건망증, 건위, 경련, 고미, 고혈압, 구토, 기관지염, 난청, 담, 산후 하혈, 설사, 소아감적, 소아 경풍, 소아 피부병, 안태, 양위, 옹종, 우울증, 위축신, 이완출혈, 종창, 중이염, 진경, 진정, 치통, 통풍, 풍비, 풍한, 해수, 혈담, 흉부냉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채송화 반지련(半支蓮)
효능: 각기, 나력, 마교, 살충, 생목, 습창, 이병, 이질, 인후종통, 종독, 부기, 지갈, 창종, 청열해독, 조충, 타박상, 해독, 해열, 혈리, 화상
사용법: (외용) 즙을 내어 상처 부위에 바르거나 짓찧어 붙인다.
천궁 천궁(川芎)
효능: 간질, 강장 보호, 강화, 건망증, 건비, 건선, 경련, 구취, 난산, 대하, 보익, 부인 하혈, 부인 혈증, 비체, 신허, 역상, 우울증, 월경이상, 음왜, 음위, 음축, 자양강장, 전립선비대증, 정혈, 조루증, 졸도, 지통, 진경, 진정, 진통, 치매증, 치통, 편두통, 현훈, 협통, 활혈, 흉부냉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산포한다.
천남성 천남성(天南星)
효능: 간경변증, 간질, 거담, 건위, 경련, 관절염, 구안와사, 구토, 반신불수, 상한, 소아 경풍, 요통, 전간, 중풍, 진경, 창종, 척추질환, 파상풍, 한경, 해수, 혈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 또는 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천마 천마(天麻)
효능: 간질, 감기, 강장 보호, 강장제, 견비통, 경련, 고혈압, 소아감병, 소아경결, 소아 경풍, 소아 청변, 어깨결림, 언어장애, 열성경련, 윤장, 자율신경실조증, 자음, 장위카타르, 정신분열증, 제습, 중풍, 진경, 진정, 진통, 척추질환, 척추카리에스, 풍, 풍열, 현훈,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천문동 천문동(天門冬)
효능: 각혈, 간질, 강장 보호, 강화, 거담, 경련, 골반염, 골수염, 근골 위약, 난청, 변비, 보골수, 보로, 보신, 아편중독, 안오장, 양기, 양정, 음위, 이뇨, 인두염, 인후 통증, 자양강장, 자음 윤조, 절옹, 종독, 진경, 진정, 토혈, 파상풍, 폐결핵, 폐기, 폐렴, 풍한, 해수, 해열, 허약체질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 허한으로 인한 설사 및 외감풍한(外感風寒)에 의한 해수에는 금기이다.
청가시덩굴 화동계발(華東菝葜)
효능: 과식, 관절염, 다소변증, 매독, 요통, 임질, 제습, 종독, 진통, 치출혈, 치통, 치풍, 치한, 풍, 하리,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청미래덩굴 토복령(土茯苓)
효능: 거풍, 고치, 관절염, 근골구급, 근육마비, 뇌암, 대장암, 매독, 비암, 설사, 소감독, 수종, 식도암, 신장암, 아감, 야뇨증, 약물중독, 위암, 유방암, 이질, 임질, 림프절염, 자궁경부암, 자궁암, 장염,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 종창, 지혈, 직장암, 치암, 치통, 치한, 통풍, 하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에 김을 쐬고 닦아낸다.
초피나무 화초(花椒)
효능: 감기, 건 위, 구충, 복통, 사독, 설사, 위 내정 수, 이뇨, 제습, 중풍, 진통, 치통, 통경, 편도염, 하초습열, 해수,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내다.
측백나무 측백엽(側柏葉), 백자인(柏子仁)
효능: 각혈, 간질, 간장보호, 개선, 거담지해, 건비위, 고혈압, 곽란, 동상, 부인하혈, 소아경풍, 양모발약, 양혈지혈, 위축신, 위하수, 이완출혈, 이하선염, 임신중요통, 자궁출혈, 자양강장, 장염, 정양, 제습, 지사, 지혈, 진정, 토혈각혈, 풍비, 피부노화방지, 하리, 해수, 혈뇨, 화상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이겨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서 닦아낸다.
층꽃나무 난향초(蘭香草)
효능: 간염, 감기, 강장 보호, 거담지해, 결막염, 경혈, 곽란, 관절염, 기관지염, 두통, 부종, 산어지해, 소풍해표, 신경통, 옹종, 월경이상, 위장염, 유옹, 인후 통증, 자양강장, 제습, 종기, 중풍, 지사, 진통, 청열, 치통, 타박상, 태독, 통경, 피부소양증, 해독, 해수, 해열, 황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상처부위에 김을 쐬고 닦아낸다.
층층둥굴레 옥죽(玉竹)
효능: 감기, 강근골, 강심제, 강장 보호, 강정제, 기억력감퇴, 당뇨, 명목, 보중익기, 윤심폐, 자양강장, 정력증진, 종염, 종창, 폐렴, 풍습, 해열, 허손한열 허약체질,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치자나무 치자(梔子)
효능: 각혈, 간염, 감기, 강장 보호, 갱년기장애, 결막염, 경혈, 골절증, 구내염, 당뇨, 목소양증, 백리, 불면, 소염, 양혈, 어혈, 오지, 위경련, 위장염, 이뇨, 일체안병, 임질, 적백리, 정혈, 지혈, 진정, 진통, 추간판탈출증, 타박상, 토혈, 토혈 각혈, 편도선염, 해열, 혈뇨, 황달, 흉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부위에 개어 붙인다.
칡 갈근(葛根), 갈화(葛花)
효능: 감기, 강장 보호, 견비통, 경련, 고혈압, 관절통, 광견병, 구토, 근육통, 난청, 당뇨, 발한, 숙취, 식중독, 아편중독, 암내, 위암, 인플루엔자, 일사병, 열사병, 장염, 장 출혈, 주독, 주체, 중풍, 지혈, 진정, 진통, 치열, 편도선염, 피부소양증, 해독, 해열, 현훈, 협심증, 홍역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컴프리 감부리(甘富利)
효능: 간염, 강장 보호, 건비위, 고혈압, 급성간염, 보혈허, 설사, 소화불량, 신체허약, 익정, 장위카타르, 지혈, 진정, 토혈 각혈, 폐기천식,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부위에 개어 붙인다.
콩짜개덩굴 지련전(地連錢)
효능: 개선, 경혈, 악창, 양혈해독, 지혈, 청폐지해, 치통, 코피, 타박상, 폐옹, 풍진, 해수, 혈뇨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 내어 개어 붙인다.
큰까치수염 낭미파화(狼尾巴花)
효능: 구충, 백대하, 생리불순, 신경통, 월경이상, 유방염, 이수소종, 이질, 인후염, 타박상, 활혈, 활혈조경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낸다.
큰꽃으아리 철선련(鐵線蓮)
효능: 간염, 개선, 거풍습, 급성간염, 발한, 복중괴, 악종, 요슬통, 중풍, 진통, 천식, 치통, 통풍, 파상풍, 풍, 풍질, 해독,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큰뱀무 오기조양초(五氣朝陽草)
효능: 강심, 거풍제습, 경련, 고혈압, 관절통, 옹저, 위궤양, 인통, 적백리, 제습, 종독, 진경, 치혈, 타박상, 토혈, 풍, 해소, 활혈, 활혈소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내복): 짓찧어 상처부위에 바른다.
큰오이풀 지유(地楡)
효능: 객혈, 대하, 동상, 산후복통, 습진, 양혈지혈, 월경과다, 창종, 충독, 활혈지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큰조롱 백하수오(白何首烏)
효능: 강근 골, 강장 보호, 경선결핵, 금창, 내복통, 보혈, 소아복 냉증, 양위, 옹종, 요슬산통, 유정증, 이뇨, 익정, 자양강장, 장 출혈, 정력증진, 종독, 중풍, 출혈, 치핵, 태아 양육, 한열, 해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타래붓꽃 마린자(馬藺子)
효능: 간염, 골수염, 급성간염, 백일해, 안태, 옹종, 위중열, 이뇨, 인후염, 장위카타르, 절상, 종독, 주독, 지혈, 창달, 청열해독, 토혈, 토혈 각혈, 편도선염, 폐렴, 해독, 해소,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 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탱자나무 구귤(枸橘)
효능: 각기, 건 위, 기관지염, 내장무력증, 복부 창만, 소화불량, 위축신, 위학, 자궁수축, 자궁하수, 지구역, 지혈, 진통, 축농증, 탈모증, 탈항, 토혈, 통기, 통리수도, 편도선염, 하리, 해소, 해수, 해열, 황달, 흉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털머위 연봉초(連蓬草)
효능: 감기, 개선 기관지염, 보익, 어독, 윤피부, 인후종통, 종창, 진정, 진통, 척추질환, 척추카리에스, 청열해독, 충치, 치통, 타박상, 토혈 각혈, 풍열감기, 해수, 해열, 화상,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털부처꽃 천굴채(千屈菜)
효능: 각기, 경혈, 방광염, 수감, 수종, 암, 역리, 이뇨, 이질, 자궁출혈, 적백리, 제암, 종독, 지사, 청열양혈, 피부궤양,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털여뀌 홍초(葒草)
효능: 각기, 거풍제습,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위장염, 제습, 종독, 창종, 통기, 학질, 해열, 혈뇨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내거나 가루 내어 뿌리거나 개어 붙인다.
파 총백(葱白)
효능: 감기, 건위, 골절증, 곽란, 기관지염, 만성피로, 발한, 부종, 사태, 소아감적, 소아 경풍, 안태, 양혈거풍, 오로보호, 옹종, 월경이상, 이뇨, 자한, 장위카타르, 정혈, 지한, 축농증, 충치, 치통, 타박상, 편도선비대, 편도선염, 폐기천식, 피부소양증, 한열왕래, 해독, 해수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파대가리 수오공(水蜈蚣)
효능: 간염, 감기, 근골동통, 급성간염, 말라리아, 이질, 종독, 풍한감모, 한열두통, 한열왕래, 해수, 해열,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팥꽃나무 원화(芫花)
효능: 감기, 강심제, 경혈, 구창, 구토, 기관지염, 설사, 수종, 신장염, 오풍, 옹종, 완선, 이뇨, 종독, 지혈, 진통, 천해, 축수, 치질, 타박상, 통경, 폐결핵, 폐기천식, 폭식증, 해독, 해소, 협통, 흉협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 신체 허약자와 임산부는 사용을 금한다.
패랭이꽃 구맥(瞿麥)
효능: 경혈, 난산, 가슴막염, 무월경, 석림, 소염, 수종, 안질, 옹종, 요도염, 유정증, 음양음창, 음축, 이뇨, 이수통림, 인후염, 인후통증, 일체안병, 임질, 자상, 치질, 치핵, 타박상, 타태, 통경, 통리수도, 풍치, 피임, 하리, 활혈통경, 회충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개어 붙인다.
패모 패모(貝母)
효능: 거담, 고혈압, 기관지염, 나력, 산결, 소아 경풍, 악창, 유방염, 유선염, 유즙 결핍, 유창통, 인후 통증, 림프절염, 지혈, 진정, 진통, 진해, 창양종독, 청열, 토혈 각혈, 통유, 편도선염, 폐결핵, 폐기종, 폐기천식, 폐혈, 해수, 해열, 혈압하강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개어서 바른다.
팽나무 박수피(朴樹皮)
효능: 결핵, 관절염, 대하증, 발모, 부종, 불면, 살충, 안태, 옹종, 요통, 유옹, 이뇨, 종독, 진통, 통경, 통리수도, 통변, 포징, 화상,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에 사용한다.
편두 백편두(白扁豆)
효능: 가스중독, 건비, 건위, 곽란, 구역증, 구토, 근계, 소감독, 소서 식강어체, 식욕감소, 약물중독, 적백대하, 조갈증, 주독, 주중독, 지구역, 척추질환, 중독, 하리, 해독, 해열, 화농, 화습, 화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하여 복용한다.
풀명자 모과(木瓜)
효능: 각기, 강장보호, 건위, 근골위약, 근육통, 만성피로, 요통, 위장염, 장결핵, 장위카타르, 장출혈, 제습, 주독, 풍, 풍비,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풀솜대 녹약(鹿藥)
효능: 강장 보호, 거풍지통, 노상, 두통, 보기, 양위, 월경불순, 유선염, 유옹, 음위, 익신, 조루증, 종독, 타박상, 풍, 허약체질,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풍선덩굴 가고과(假苦瓜)
효능: 개선, 경혈, 독사교상, 양혈, 이수, 임병, 정혈, 청열, 타박상, 해독, 해수,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개어 붙인다.
피나물 하청화근(荷靑花根)
효능: 개선, 구풍, 관절염, 류머티즘, 상어소종, 서근활락, 옹종, 제습, 종독, 지통지혈, 지혈, 진통, 창양, 타박상, 항문주위농양,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피마자 피마자(藣麻子)
효능: 각기, 개선, 건선, 관격, 구금, 구금 불언, 난산, 두통, 맹장염, 목소양증, 민감체질, 변독, 부종, 설사, 설창, 소아 소화불량, 실음, 아감, 악창, 오한, 외질, 적체, 적취, 제습, 종독, 중풍, 지혈, 진통, 치핵, 타태, 탕화창, 통경, 통변, 편도선염, 풍습, 피부병, 한열, 한열왕래, 화상 등
사용법: (내복): 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다른 약품과 개어 붙인다. ☞ 유독하다.
하늘말나리 백합(百合)
효능: 각혈, 강심제, 강장 보호, 객혈, 구역증, 기관지염, 기부족, 동통, 백일해, 보폐, 신경쇠약, 안오장, 역질, 유방염, 유방왜소증, 유선염, 윤폐지해, 익지, 종기, 진정, 청심안신, 토혈, 토혈 각혈, 폐렴, 해독, 해수, 후두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죽을 쑤어 복용한다.
하늘타리 괄루인(括樓仁)
효능: 각혈, 강장보호, 객혈, 거담, 결핵, 경혈, 당뇨, 백적리, 선열, 식도암, 야뇨증, 어혈, 요도염, 유두염, 유즙결핍, 윤피부, 이뇨, 자궁경부암, 자양강장, 장풍, 적백리, 종창, 중풍, 창종, 최유, 치루, 치핵, 통경, 통리수도, 폐기천식, 폐위해혈, 피부윤택, 해수, 해열, 화상, 황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 임신 중에는 금한다.
하수오 하수오(何首烏), 야교등(夜交藤)
효능: 각풍, 간 기능회복, 감염, 간허, 감기, 감비, 강심제, 강장보호, 갱년기장애, 거담, 건망증, 과로, 관절염, 구풍, 권태증, 근골위약, 내풍, 두통, 백일해, 보익, 수풍, 신경쇠약, 양위, 양혈, 오발, 완화, 요슬산통, 림프절염, 장위카타르, 정기, 정력증진, 종독, 진통, 진해, 척추질환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때로는 술을 담가 복용한다.
한련초 묵한련(墨旱蓮)
효능: 강장 보호, 경혈, 근골동통, 악독 대창, 양혈지혈, 오발, 음낭종독, 자음익신, 종기, 종독, 종창, 지혈, 진통, 충독, 토혈 각혈, 해독, 혈분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린다. ☞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적당하지 않다.
할미꽃 백두옹(白頭翁)
효능: 건위, 경혈, 뇌암, 천연두, 만성위염, 백독, 부종, 비암, 비출혈, 선기, 소영, 수렴, 심장통, 양혈, 요슬풍통, 위장염, 음부소양, 익혈, 림프절염, 자궁경부암, 장염, 장출혈, 적백리, 적취, 정혈, 지혈, 청혈해독, 치암, 폐암, 풍양, 피부암, 하리, 학질, 한열왕래, 혈전증, 흉부냉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장기간 사용은 소화기관의 장애를 가져오므로 주의한다.
함박꽃나무 천녀목란(天女木蘭)
효능: 배가 튀어나오는 증세, 소종, 열질, 윤폐지해, 지혈, 진정, 진통, 토혈각혈, 폐렴, 하리,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해당화 매괴화(玫瑰花)
효능: 각혈, 객혈, 건위, 견인통, 경혈, 관절염, 금창, 양혈거풍, 월경이상, 유뇨, 유선염, 이기, 장간막탈출증, 제습, 종독, 지혈, 진통, 치통, 타박상, 토혈각혈, 통경, 통기, 폐혈, 해울, 협통, 화혈산어,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로 하여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 음허자(陰虛者)는 복용을 금한다.
해바라기 향일경심(向日莖心)
효능: 강장 보호, 고혈압, 골다공증, 구충, 구풍, 금창, 류머티즘, 보익, 사태, 식견 육체, 요도염, 월경이상, 일사상, 지혈, 진통, 치통, 통리수도, 해수,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향나무 회엽(檜葉)
효능: 감기, 거풍산한, 고혈압, 곽란, 관절염, 관절통, 이뇨, 제습, 종기, 종독, 지혈, 통경, 통리수도, 풍, 풍한, 해독, 활혈, 활혈소종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그 김을 상처 부위에 쐬고 닦아낸다.
현삼 현삼(玄蔘)
효능: 감기, 강심제, 강화, 결핵, 경선결핵, 고혈압, 골증열, 기관지염, 나력, 산결해독, 성병, 소염, 연주창, 옹종, 인두염, 인후통증, 임파선염, 자양강장, 종독, 진통, 청열양음, 토혈각혈, 통풍, 편도선염, 폐결핵, 폐렴, 해독, 해열, 혈비, 후두염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부위에 개어 붙이거나,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현호색 현호색(玄胡索)
효능: 견비통, 경련, 경혈, 골절, 골절통, 두통, 오십견, 오줌소태, 요슬산통, 요통, 월경이상, 월경통, 유창통, 이완출혈, 임신중독증, 자궁수축, 정혈, 조경, 진경, 진정, 진통, 질벽염, 타박상, 통기, 포징, 풍비,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 출산 후 피가 부족한 사람은 금한다.
협죽도 협죽도(夾竹桃)
효능: 간질, 강심제, 경련, 고혈압, 이뇨, 진경, 타박상, 폐기천식,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 유독하므로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호두나무 호도인(胡挑仁)
효능: 각기. 간 기능회복, 강장보호, 강장제, 개선, 구충, 구토, 기관지염, 동상, 소변림력, 소아조성장, 수감, 암내, 염발, 옴, 요결석, 요통, 유정증, 윤폐, 임신구토, 자색반병, 자양강장, 중독증, 진해, 타박상, 통기, 폐기천식, 임신, 피부염,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기름을 짜내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호랑가시나무 구골엽(枸骨葉)
효능: 강장 보호, 거풍습, 관절염, 두통, 보간신, 양 기혈, 요 슬 산통, 익정, 제습, 청풍 열, 타박상, 폐결핵, 풍, 풍비, 해수,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호박 남과근(南瓜根), 남과자(南瓜子)
효능: 각혈, 간경변증, 감기, 강장보호, 결막염, 경풍, 고혈압, 골다공증, 구창, 구충, 기관지염, 난산, 소아리수, 아편중독, 암내, 야뇨증, 야맹증, 요도염, 위암, 유즙결핍, 임신오조, 전립선비대증, 중풍, 청폐, 치핵, 탈항, 통락, 편도선비대, 하리, 해수, 홍역, 화병, 황달, 흉통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호장근 호장근(虎杖根)
효능: 간염, 감기, 건위, 골수염, 급성간염, 보익, 야뇨증, 완화, 위장염, 이뇨, 제습, 종독, 청열이습, 치핵, 타박상, 통경, 풍, 해독, 해수, 화염지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내거나 가루 낸 후 개어서 상처 부위에 붙인다.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홀아비꽃대 은전초(銀錢草)
효능: 거풍, 경혈, 기관지염, 소종지통, 옹종, 월경이상, 이뇨, 인후통증, 제습, 타박상, 통경, 풍한해수, 해독, 해수, 활혈, 흉협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화살나무 귀전우(鬼箭羽)
효능: 구충, 대장암, 복진 통, 산후어혈, 살충, 신장암, 암, 요 슬 통, 월경이상, 유방암, 자궁출혈, 제습, 촌충, 통경, 통유, 파혈통경, 풍습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환삼덩굴 율초(葎草
효능: 감기, 건위, 관격, 나창, 오림, 옹종, 위암, 이뇨, 림프절염, 진정, 청혈해독, 치질, 치핵, 퇴허열, 파상풍, 폐결핵, 폐렴, 폐혈, 하리, 학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물로 달여 닦아낸다.
활나물 야백합(野百合)
효능: 간장암, 강심, 기관지염, 소아감적, 식도암, 야뇨증, 이뇨, 자궁경부암, 진통, 통경, 피부상피암, 항암, 해독, 해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황금 황금(黃芩)
효능: 감기, 고혈압, 구토, 금창, 기관지염, 농혈, 단독, 복통, 소염, 악창, 안태, 오림, 이질, 장염, 장위카타르, 종독, 지사, 지혈, 청열조습, 토혈 각혈, 풍, 하리, 해독, 해열, 활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바른다. ☞ 비위를 상하게 할 수 있다.
황기 황기(黃芪)
효능: 간작반, 감기, 강심제, 경선결핵, 경중양통, 고혈압, 관절염, 근육경련, 기력증진, 난청, 가슴막염, 만성피로, 열질, 오한, 옹종, 옹창, 위하수, 자궁수축, 정력증진, 중풍, 치질, 치핵, 탈모증, 폐결핵, 폐병, 피부노화방지, 피부윤택, 해수, 해열, 허약체질, 혈허, 화농, 흉부냉증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황벽나무 황백(黃柏)
효능: 가성근시, 각막염, 간경변증, 간염, 건 위, 결막염, 고미, 구내염, 근시, 급성간염, 당뇨, 동상, 방부, 소아 야뇨증, 소아이질, 수감, 아감, 야뇨, 오풍, 요통, 위장염, 임질, 장티푸스, 전립선비대증, 정력증진, 종독, 종창, 치조농루, 치질, 치통, 콜레라, 토혈, 폐결핵, 해독, 홍채, 황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개어 붙인다. ☞ 비위가 허약한 자는 금한다.
황해쑥 애엽(艾葉)
효능: 개선, 건위, 산한지통, 안질, 온경지혈, 이뇨, 제습지양, 창종, 풍습, 황달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에 붙이든가, 달여서 상처부위를 닦아 낸다.
회양목 황양목(黃楊木)
효능: 거풍습, 근골동통, 목적 동통, 산풍, 이기, 적백리, 제습, 지통, 치통, 타박상, 통풍, 풍습두통, 해수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회향 회향(茴香)
효능: 각기, 간질, 거담, 건 위, 경혈, 곽란, 관절염, 구충, 구토, 구풍, 대하, 부인음, 사독, 사하, 식우육체, 신경통, 양위, 오심, 온신, 요통, 유즙 결핍, 음동, 음왜, 음위, 이기개위, 장위카타르, 중종, 지구역, 지통, 진통, 창종, 최유, 치통, 토혈 각혈, 통기, 풍, 흉부냉증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회화나무 괴각(槐角)
효능: 각혈, 고혈압, 뇌내출혈, 만성피로, 소염, 수감, 식도암, 양혈거풍, 유방암, 인후염, 일체 안 병, 임파선염, 장위카타르, 장 출혈, 전립선암, 종독, 지혈, 청열, 치조농루, 치출혈, 치핵, 토혈 각혈, 피부암, 해열, 활혈. 회충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하며, 생즙을 내어 복용한다.
후박나무 홍남피(紅楠皮)
효능: 강장보호, 거담, 건위, 경련, 경신익지, 골절번통, 관절냉기, 구창, 구토, 근골동통, 만성피로, 양위, 오로보호, 오풍, 위장병, 위학, 자양강장, 장위카타르, 전근족종, 정양, 좌상근, 중풍, 진정, 토사부지, 통리수도, 해수, 해열, 허약체질,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인다.
흑삼릉 삼릉(三稜)
효능: 기혈응체, 소적, 월경이상, 종독, 진경, 타박상, 통경, 통기, 파혈거어, 학질, 행기지통, 협하창통, 활혈.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 허약체질, 월경과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흰대극 계장낭독(鷄腸狼毒)
효능: 건선, 당뇨, 발한, 복중괴, 사수축음, 소종산결, 음종, 이뇨, 임질, 치통, 통경, 풍습, 풍열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흰민들레 포공영(蒲公英)
효능: 각기, 강장 보호, 건위, 경중양통, 대하증, 만성간염, 부종, 소감우독, 소아 해열, 식중독, 악창, 오풍, 온신, 완화, 요독증, 위궤양, 위산과다증, 위장염, 유방염, 유선염, 유즙 결핍, 이습통림, 인후염, 인후 통증, 자궁내막염, 자상, 정종, 정창, 진정, 창종, 충혈, 탈피기급, 황달 등
사용법: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바른다.
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