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오줌나무 접골목(接骨木)

말오줌나무는 산기슭 물가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3∼5m이며 줄기에 코르크가 발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2∼3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홀수 1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가장자리의 톱니가 안으로 굽는다. 꽃은 황백색으로 6월에 산방상 원추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둥글며 7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 딱총나무보다 잎에 광채가 있고 화서는 밑으로 드리운다.

말오줌나무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실제 약재이름은 접골목(接骨木)이며 채취할 수 있는 서식지 분포 지역은 한국(울릉도) 특산 이다. 채취시기에 맞춰서 채취하면 된다.

식물들은 여러 과명으로 분류해서 나뉘게 되는데, 말오줌나무의 식물과명은 인동과(Caprifoliaceae)이다. 그리고 식물종학명 영어표시 이름은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Nakai) T.B.Lee으로 표시해서 사용 된다.

말오줌나무 식물을 분류할 때 피자식물/쌍자엽식물 형태로 분류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슷한 모양이나 색깔 잎 모양 등을 찾아볼 수 있다.

말오줌나무 효능은 각기, 건비위, 나창, 자궁하수, 제습, 진통, 탄산토산, 탈항, 통리수도, 풍, 풍사, 풍한, 각기, 감기, 경련, 골절증, 관절염, 자한, 정혈, 제습, 지혈, 진통, 타박상, 통풍, 활혈.에 효과적이다. 복용방법은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약용 식물 약재로 사용되는 말오줌나무 접골목(接骨木)를 직접 채취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굵은 가지를 가을부터 겨울까지 채취하여 말린다.

📷 사진


← 목록으로

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