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화과나무 무화과(無花果)

무화과나무는 식재하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2∼4m이고 가지는 갈색 또는 녹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난형이며 3∼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둔두이며 물결 같은 톱니가 있다. 꽃은 봄부터 여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꽃차례가 발달하며, 열매는 은화과로서 도란형이며 8∼10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 잎이 당상으로 중∼잔열하고 집합과는 크다.

무화과나무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실제 약재이름은 무화과(無花果)이며 채취할 수 있는 서식지 분포 지역은 한국(남부), 아시아, 지중해 이다. 채취시기에 맞춰서 채취하면 된다.

식물들은 여러 과명으로 분류해서 나뉘게 되는데, 무화과나무의 식물과명은 뽕나무과(Moraceae)이다. 그리고 식물종학명 영어표시 이름은 Ficus carica L.으로 표시해서 사용 된다.

무화과나무 식물을 분류할 때 피자식물/쌍자엽식물 형태로 분류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슷한 모양이나 색깔 잎 모양 등을 찾아볼 수 있다.

무화과나무 효능은 각혈, 간작반, 개선, 마른버짐, 건위청장, 구충, 살충, 소종해독, 옹종, 완화, 요통, 위암, 인후통증, 자색반병, 자양, 자양강장, 장염, 장위카타르, 종독, 주독, 지혈, 치질, 치핵, 타박상, 탈피기급, 토혈각혈, 하리, 해독, 협심증, 회충, 흉협통에 효과적이다. 복용방법은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생식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내거나 가루 내어 개어 붙인다.

약용 식물 약재로 사용되는 무화과나무 무화과(無花果)를 직접 채취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과실을 9∼10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사진


← 목록으로

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