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곡아(穀芽)
벼는 재배하는 일년초로 높이 50∼100㎝이고 포기를 형성한다. 잎은 표면과 가장자리가 거칠고 잎혀는 2개로 갈라진다. 원추 꽃차례는 꽃이 필 때는 곧추서지만 익으면 밑으로 쳐지며 많은 소수가 달린다. 내영은 호영과 비슷하고 수술은 6개이다.
벼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실제 약재이름은 곡아(穀芽)이며 채취할 수 있는 서식지 분포 지역은 한국(전국), 인도, 말레이시아 이다. 채취시기에 맞춰서 채취하면 된다.
식물들은 여러 과명으로 분류해서 나뉘게 되는데, 벼의 식물과명은 벼과(Gramineae)이다. 그리고 식물종학명 영어표시 이름은 Oryza sativa L.으로 표시해서 사용 된다.
벼 식물을 분류할 때 피자식물 / 단자엽식물 형태로 분류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슷한 모양이나 색깔 잎 모양 등을 찾아볼 수 있다.
벼 효능은 간경변증, 건비개위, 건비위, 건위, 경혈, 고치, 구안괘사, 난청, 사태, 소식화중, 소아 중독증, 소아토유, 식견 육체, 식우유체, 식해 삼체, 안태, 위궤양, 유정증, 윤피부, 음수체, 익위생진, 일사상, 자한, 지도한, 치핵, 토혈 각혈, 통기, 퇴허열, 피부노화방지, 피부 미백, 현훈, 홍역에 효과적이다. 복용방법은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혹은 가루약으로, 죽을 쑤어 복용한다.
약용 식물 약재로 사용되는 벼 곡아(穀芽)를 직접 채취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열매를 발아시켜 싹이 5㎜ 자랐을 때 햇볕에 말린다.
📷 사진
← 목록으로
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