뻐꾹채 누로(漏蘆)
뻐꾹채는 건조한 양지에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0∼70㎝이고 흰털로 덮여 있으며 뿌리가 굵다. 잎은 도피침상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고 밑이 좁으며 깃처럼 완전히 갈라진다. 꽃은 6∼8월에 원줄기 끝에 1개씩 곧추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장타원형이다. ☞ 산비장이 속보다 총포편에 건피질의 부속체가 있다.
뻐꾹채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실제 약재이름은 누로(漏蘆)이며 채취할 수 있는 서식지 분포 지역은 한국(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고 이다. 채취시기에 맞춰서 채취하면 된다.
식물들은 여러 과명으로 분류해서 나뉘게 되는데, 뻐꾹채의 식물과명은 국화과(Compositae)이다. 그리고 식물종학명 영어표시 이름은 Rhaponticum uniflorum (L.) DC.으로 표시해서 사용 된다.
뻐꾹채 식물을 분류할 때 피자식물/쌍자엽식물 형태로 분류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슷한 모양이나 색깔 잎 모양 등을 찾아볼 수 있다.
뻐꾹채 효능은 건위, 고미, 관절염, 근골동통, 소염, 소통 하류, 옹저, 유선염, 유즙 결핍, 림프절염, 제습, 종기, 진정, 청열해독, 치질, 치핵, 해독, 해열, 혈뇨에 효과적이다. 복용방법은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뿌리거나, 물로 달여 닦아낸다.
약용 식물 약재로 사용되는 뻐꾹채 누로(漏蘆)를 직접 채취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뿌리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사진
← 목록으로
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