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리뱅이 황암채(黃鵪菜)

뽀리뱅이는 길가나 들에 자라는 이년 초로 높이 15∼100㎝이고 퍼진 털이 있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로제트형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도피침형이고 털이 있고 밑으로 점차 좁아지며 정열편은 3각상 난형이다. 꽃은 5∼6월에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상 원추 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갈색이며 11∼13개의 능선이 있다.

뽀리뱅이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실제 약재이름은 황암채(黃鵪菜)이며 채취할 수 있는 서식지 분포 지역은 한국(중남부), 중국, 일본, 대만,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이다. 채취시기에 맞춰서 채취하면 된다.

식물들은 여러 과명으로 분류해서 나뉘게 되는데, 뽀리뱅이의 식물과명은 국화과(Compositae)이다. 그리고 식물종학명 영어표시 이름은 Youngia japonica (L.) DC.으로 표시해서 사용 된다.

뽀리뱅이 식물을 분류할 때 피자식물/쌍자엽식물 형태로 분류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슷한 모양이나 색깔 잎 모양 등을 찾아볼 수 있다.

뽀리뱅이 효능은 감기, 결막염, 관절염, 백대하, 소종, 옹종, 요도염, 요로감염, 유선염, 인후통, 일체 안 병, 종독, 지통, 진통, 청열, 편도선염, 해독, 해열에 효과적이다. 복용방법은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가루약으로 복용한다. (외용): 물로 달여 상처 부위를 닦아낸다.

약용 식물 약재로 사용되는 뽀리뱅이 황암채(黃鵪菜)를 직접 채취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전초를 봄부터 가을까지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사진

뽀리뱅이 뽀리뱅이

← 목록으로

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