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대 죽여(竹茹)
솜대는 산에 자라는 상록교목으로 높이 7∼8m이고 처음은 흰 가루로 덮여 있지만, 황록색으로 된다. 잎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 저이고 잔 톱니가 있으며 뒷면의 주맥을 따라 잔털이 있다. 꽃차례를 둘러싼 포는 넓은 피침형이다. 씨방은 장란형이며 암술머리가 3개이다. ☞ 왕대보다 절간에 홈이 없고 죽순 껍질이 연한 자색으로 반점이 없다.
솜대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실제 약재이름은 죽여(竹茹)이며 채취할 수 있는 서식지 분포 지역은 한국(중남부), 중국 이다. 채취시기에 맞춰서 채취하면 된다.
식물들은 여러 과명으로 분류해서 나뉘게 되는데, 솜대의 식물과명은 벼과(Gramineae)이다. 그리고 식물종학명 영어표시 이름은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Bean) Stapf ex Rendle으로 표시해서 사용 된다.
솜대 식물을 분류할 때 피자식물 / 단자엽식물 형태로 분류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슷한 모양이나 색깔 잎 모양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솜대 효능은 각혈, 간질, 객토혈, 경련, 구금불언, 구토, 금창, 발한, 소염, 유산, 익기, 자한, 정신분열증, 주독, 중풍, 지혈, 진정, 치통, 파상풍, 해수, 해열, 황달에 효과적이다. 복용방법은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약용 식물 약재로 사용되는 솜대 죽여(竹茹)를 직접 채취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경간을 채취하여 외층 피를 제거하고 중간층을 가볍게 벗기어 그늘에서 말린다.
📷 사진
← 목록으로
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