씀바귀 황과채(黃瓜菜)

씀바귀는 산에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25∼50㎝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치아상 톱니가 있고 줄기에 달린 잎은 2∼3개이고 치아상 톱니가 있고 깃처럼 갈라진다. 꽃은 황색으로 5∼7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 꽃차례로 달린다. ☞ 냇씀바귀보다 경엽 기부가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싼다.

씀바귀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실제 약재이름은 황과채(黃瓜菜)이며 채취할 수 있는 서식지 분포 지역은 한국(전국), 일본 이다. 채취시기에 맞춰서 채취하면 된다.

식물들은 여러 과명으로 분류해서 나뉘게 되는데, 씀바귀의 식물과명은 국화과(Compositae)이다. 그리고 식물종학명 영어표시 이름은 Ixeridium dentatum (Thunb.) Tzvelev으로 표시해서 사용 된다.

씀바귀 식물을 분류할 때 피자식물/쌍자엽식물 형태로 분류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슷한 모양이나 색깔 잎 모양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씀바귀 효능은 간 경화, 강장 보호, 강정 안정, 건위, 고미, 골절, 골절증, 구고, 구내염, 구창, 만성간염, 만성기관지염, 비체, 식욕부진, 안오장, 열병, 오심, 이질, 장위카타르, 종창, 진정, 진통, 청열양혈, 최면제, 축농증, 타박상, 탈피기급, 폐열, 해독, 해열.에 효과적이다. 복용방법은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약용 식물 약재로 사용되는 씀바귀 황과채(黃瓜菜)를 직접 채취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다.

📷 사진


← 목록으로

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