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귀풀 합맹(合萌)
자귀풀는 논이나 습지에 자라는 일년초로서 높이 50∼80㎝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잔털이 돋는다. 잎은 잎자루가 짧고 20∼30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좁고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다. 꽃은 황색으로 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총상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꼬투리열매로 털이 없고 편평한 선형이다.
자귀풀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실제 약재이름은 합맹(合萌)이며 채취할 수 있는 서식지 분포 지역은 한국(전국), 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이다. 채취시기에 맞춰서 채취하면 된다.
식물들은 여러 과명으로 분류해서 나뉘게 되는데, 자귀풀의 식물과명은 콩과(Leguminosae)이다. 그리고 식물종학명 영어표시 이름은 Aeschynomene indica L.으로 표시해서 사용 된다.
자귀풀 식물을 분류할 때 피자식물/쌍자엽식물 형태로 분류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슷한 모양이나 색깔 잎 모양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자귀풀 효능은 간염, 감기, 거풍, 급성간염, 복부팽만, 소종, 습진, 옹종, 위염, 이습, 이질, 장위카타르, 종독, 청열, 해독, 해열, 황달에 효과적이다. 복용방법은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달여서 상처 부위를 닦아 낸다.
약용 식물 약재로 사용되는 자귀풀 합맹(合萌)를 직접 채취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전초를 여름부터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사진
← 목록으로
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