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짜개덩굴 지련전(地連錢)
콩짜개덩굴는 습한 바위 겉이나 늙은 나무에 붙어 자라는 상록 다년초로 근경이 옆으로 벋으며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영양엽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홀씨주머니가 달린 포자엽은 주걱형이며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진다. ☞ 영양엽이 콩짜개란과 유사하다.
콩짜개덩굴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실제 약재이름은 지련전(地連錢)이며 채취할 수 있는 서식지 분포 지역은 한국(남부 해안지대와 도서 지역), 중국, 일본, 대만, 인도차이나 이다. 채취시기에 맞춰서 채취하면 된다.
식물들은 여러 과명으로 분류해서 나뉘게 되는데, 콩짜개덩굴의 식물과명은 고란초과(Polypodiaceae)이다. 그리고 식물종학명 영어표시 이름은 Lemmaphyllum microphyllum C.Pre니으로 표시해서 사용 된다.
콩짜개덩굴 식물을 분류할 때 양치식물 형태로 분류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슷한 모양이나 색깔 잎 모양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콩짜개덩굴 효능은 개선, 경혈, 악창, 양혈해독, 지혈, 청폐지해, 치통, 코피, 타박상, 폐옹, 풍진, 해수, 혈뇨에 효과적이다. 복용방법은 (내복): 탕전(湯煎)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 부위에 붙이거나 가루 내어 개어 붙인다.
약용 식물 약재로 사용되는 콩짜개덩굴 지련전(地連錢)를 직접 채취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전초를 여름부터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사진
← 목록으로
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