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낭화


현호색과 식물 분류 군으로 속해 있는 금낭화 같은 경우 영문으로 된 학명은 Dicentra spectabilis (L.) Lem. 이다.

간단히 설명을 하자면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 현호색과이 여러해살이풀 이고, 길을 지나가다가 보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주로 분포되는 서식지는 산지의 돌무덤, 계곡이다. 이곳에서 많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찾을 수 있다.

금낭화 생태 상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꽃이 피는 시기, 개화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데, 우선 금낭화 설명하자면 높이 40~50cm이다. 전체가 흰빛이 도는 녹색이고 줄기는 연약하며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3개씩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웅 모양이다. 꽃은 5~6월에 담홍색으로 피는데, 총상꽃차례로 줄기 끝에 주렁주렁 달린다. 화관은 볼록한 주머니 모양이다.
꽃잎은 4개가 모여서 편평한 심장형으로 되고 바깥 꽃잎 2개는 밑 부분이 꿀주머니로 되며 안쪽 꽃잎 2개가 합쳐져서 관 모양의 돌기가 된다. 꽃받침잎은 2개로 가늘고 작은 비닐 모양이며 일찍 떨어지며 수술은 6개이고 양체로 갈라지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긴 타원형의 삭과이다. 한국에는 설악산 지역에 분포한다.

📷 이미지

금낭화 금낭화
← 목록으로

출처 : 산림청